오는 3월부터 유럽에서 아이폰 이용자는 애플의 앱스토어가 아닌 다른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받을 수 있고, 개발자는 아이폰의 인앱 결제가 아닌 다른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2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과 연합뉴스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운영체제 iOS와 앱스토어, 웹브라우저 사파리 등에 대한 개편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3월부터 유럽연합(EU)에서 빅테크(거대정보통신 기업)의 폐쇄적인 플랫폼을 전면 개방하도록 한 디지털 시장법(DMA)이 시행되는 데 따른 것이다.

독일 애플 매장 로고. /연합뉴스

애플은 우선 유럽에서 이용자들이 애플스토어가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도 앱을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애플은 그동안 구글과 달리 개인정보 보호 등을 이유로 애플스토어에서만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허용해 왔다.

애플의 결제 시스템이 아니라 앱 개발자들이 가격을 낮추면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대체 결제 시스템도 제공된다. 애플은 이에 자사의 결제 시스템을 통한 거래에 대해 수수료를 15∼30%에서 10∼17%로 낮추기로 했다. 대체 결제 시스템을 통한 거래는 기본적으로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이는 유럽에서만 해당할 뿐 그 외 지역에서는 그대로 부과된다.

애플은 다만, 앱스토어와 결제 시스템을 개방하면서도 제한을 뒀다. 아이폰에 다른 앱스토어를 제공하는 개발자들은 애플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또 추가 결제 수수료 시스템도 도입했다.

애플의 결제 시스템 이용 시 3%의 결제 처리 수수료를 부과하고, 100만번 이상 설치된 앱에 대해서는 설치 건당 0.50유로(725원)의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했다. 유럽 내 99% 이상의 개발자들은 애플에 내는 수수료가 줄어들고, 앱 설치 수수료를 내야 하는 개발자는 전체 1%도 되지 않을 것이라고 애플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