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DB

국제 유가가 오르며 미국 물가가 다시 상승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 노동부는 8월 소비자 물가 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했다고 13일(현지 시각) 밝혔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3.6%)를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전월 대비로는 0.6% 상승했다.

7월 이후 국제 유가가 오른 게 소비자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휘발유 가격은 전월보다 10.6% 올라 8월 소비자 물가 상승에 대한 기여도가 절반을 웃돌았다. 이달 들어서도 유가 상승이 지속되며 당분간 소비자 물가 상승을 압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감산 연장으로 브렌트유 가격은 이달 들어 배럴당 90달러를 넘기며 연중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주거비도 40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4.3%, 전월 대비 0.3% 올랐다. 근원 CPI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 정책 방향을 결정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지표 중 하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5일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6~7월 근원 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우리는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기준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다만 물가가 기조적으로 다시 오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제임스 나이틀리 ING 국제 부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장기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의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며 “노동 시장 냉각으로 소비자들이 앞으로 경제적으로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는 소비 지출 둔화와 물가 상승 둔화를 뒷받침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