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적 기대가설’로 1995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던 로버트 루카스 미국 시카고대 명예교수가 향년 85세로 별세했다.

로버트 루카스 교수는 “적절한 시점에 출구 전략(exit strategy)을 펴는 것이 버냉키의 다음 숙제”라면서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채승우 기자

15일(현지시각) 시카고대는 루카스 교수가 사망했다고 밝혔다. 로버트 시머 시카고대 경제학과장은 이날 학부 홈페이지에 올린 추도문을 통해 “루카스 교수는 경제학 분화를 변화시킨 혁명적인 연구와 교육, 리더십의 유산을 남겼다”고 했다.

1937년생인 루카스 교수는 시카고대에서 역사학 전공 후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카네기멜런대 교수를 거쳐 1975년부터 시카고대 경제학과 교수로 일했다. 당대 주요 이론이었던 케인스 이론을 자신의 합리적 기대 가설로 비판했다.

그가 정립한 합리적 기대 가설은 ‘모든 경제행위자는 합리적 기대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오류가 없이 미래에 대한 기대를 형성한다’는 이론이다. 시카고학파의 거두였던 고(故) 밀튼 프리드먼 시카고대 교수의 수제자로 꼽히는 그는 이 합리적 기대 가설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인간은 정부 정책마저도 합리적으로 기대해 행동하기 때문에, 당초 예상했던 시장 개입 효과를 얻기 힘들다는 주장이 골자다. 정부 개입보다도 기업의 자유로운 시장 활동을 강조한 셈이다. 이 이론은 재정 정책으로 경제성장과 실업률을 통제할 수 있다는 케인스주의 경제학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루카스 교수는 노벨 경제학상 상금 절반을 이혼한 부인에게 준 것으로도 유명하다. 루카스 교수의 전처는 이혼 서류에 1996년 이전에 노벨상을 받으면 상금 일부를 위자료로 지급한다는 조항을 넣었고, 기한 만료 20일을 앞두고 조항이 실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