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ANG 기업들의 로고. /트위터 캡처

지난해 5개 빅테크(거대 IT기업)들의 증시 시가 총액이 3조 달러(약 3789조 원) 이상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등 5개 거대 빅테크 기업, 이른바 ‘FAANG’이 지난해 주식시장에서 어느 때보다도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고 보도했다.

메타(-64%)와 넷플릭스(-51%)는 폭락 수준이었고, 나머지 3개 기업도 최소 27% 이상 주가가 내려갔다. 대형주인 FAANG이 동반 하락하면서 미국 500대 기업의 주가를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함께 끌어 내렸다. 지난해 S&P 500지수의 하락 폭은 19%로 지난 2008년 국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나쁜 성적을 기록했다. 이에 FAANG이 S&P 500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시총 급감으로 2021년 17%에서 지난해 13%로 감소했다.

FAANG의 저조한 성적은 40여 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공격적인 기준 금리 인상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투자자문업체 뉴버거 버먼의 자산투자전략부문 대표인 에릭 크누천은 “금리가 낮을 때는 투자자들이 성장성이 높은 종목에서 고수익을 노리는 전략을 취한다”면서 “그러나 금리가 오르면 모든 게 뒤바뀐다”고 말했다.

빅테크와 달리 지난 2021년 부진했던 S&P 500의 에너지 분야는 2022년 59%나 반등했다. 석유 메이저인 엑손모빌의 경우 2021년에는 시총 기준으로 S&P 500에서 상위 25위에도 들지 못했지만, 지난해 8위까지 뛰어올랐다. 또 소비자 필수품이나 의료보건 등 경기의 영향을 덜 받는 종목들도 전반적인 시장 성적보다 나은 성적을 기록했다.

반면 메타는 시총 기준으로 S&P 500 6위에서 19위로 하락했고, 테슬라는 5위에서 11위로 떨어졌다.

앞으로도 빅테크의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예고됐기 때문이다. 이에 메타와 아마존은 정리해고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다만 시장 일각에서는 수년 안에 FAANG가 부활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아폴론 웰스 매니지먼트의 투자분야 대표인 에릭 스터너는 “오는 2024년으로 예상되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에는 기술주가 다시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