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항구의 물류대란을 해결하고 노후된 인프라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미 교통부와 캘리포니아주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뉴욕타임스(NYT)와 폭스비즈니스 등이 2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파트너십은 교통부가 캘리포니아 주정부에 대출하는 방식으로 파트너십이 진행된다. NYT는 대출자금의 규모가 최대 50억 달러(약 5조84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컨테이너박스가 가득 쌓여있는 로스앤젤레스(LA) 항구의 모습.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피트 부티지지 미국 교통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전례 없는 소비자 수요와 코로나19가 야기한 혼란, 그리고 수십년 간 인프라에 대해 과소 투자한 결과로 우리의 공급망이 시험대에 놓였다”며 “오늘 발표는 인프라 현대화, 기후 변화 대응, 상품 이동 속도 향상 및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캘리포니아주와의 혁신적인 파트너십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교통부 대변인은 상당수의 프로젝트가 완성까지 수 년이 걸려, 이번 파트너십으로 물류대란이 단기간에 해소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잠재적으로 50억 달러(약 5848억5000만원) 이상의 대출 자금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번 투자가 노후된 인프라를 강화에 필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조달되는 자금은 ▲기존 항만 시설 업그레이드 ▲화물 철도의 용량 확장 ▲창고 저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내륙 항만 개발 ▲철도 및 트럭 전기화 ▲트럭 이동 시간을 개선을 위한 고속도로 업그레이드 등의 프로젝트에 쓰일 예정이다.

개빈 뉴솜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캘리포니아의 항구와 인프라 시스템은 국가 공급망의 핵심”이라며 이번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연방-주 파트너십은 항구와 인프라를 훨씬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될 것”이라며 “제품이 필요한 곳에 더 빠르고 저렴하게 그리고 환경 친화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캘리포니아주 교통국의 데이비드 김 장관은 광범위한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를 위한 대출을 발행하기 위해 캘리포니아주가 연방 정부와 협력한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의 공급망 인프라는 구식”이라며 “지금이야말로 시스템을 현대화하고 향후 몇 년 동안 엄청난 성장과 수요에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때”라고 NYT에 말했다.

미국을 혼란에 빠트린 물류대란은 코로나19로 정체됐던 소비가 늘며 상품 수요 급증과 선박 컨테이너, 트럭운전사, 창고 직원의 부족 등이 겹치며 시작됐다. 바이든 행정부는 이번 달에 물류대란 해소를 위해 캘리포니아주의 롱비치항과 로스앤젤레스항을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으로 전환했다 .

이번 파트너십은 지난주 뉴솜 주지사가 캘리포니아 항구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장기적인 해결책을 찾도록 지시하는 주정부의 행정 명령에 서명한 후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