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국내 공항에서 외국 항공사를 이용해 국제선을 탑승한 승객 수가 대한항공(003490)아시아나항공(020560)의 국제선 승객을 더한 수치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6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항공편 출발 안내 전광판. /연합뉴스

26일 국토교통부·한국항공협회 항공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외항사 국제선 승객 수는 225만3733명으로, 대한항공(136만1842명)과 아시아나항공(87만7470명)의 합산 223만9312명보다 1만4421명 많았다.

지난달 국제선 외항사 이용객은 1년 전(149만여명)보다 50.4% 증가하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이용객 증가폭(32%)을 웃돌았다. 4월 전체 국제선 이용객(약 689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외항사가 32.7%,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 32.5%였다. 나머지는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였다.

국토부 항공 통계 집계가 시작된 지난 2009년 1월 이래 외항사가 월간 국제선 이용자 수에서 국내 양대 항공사를 넘어선 것은 2021년 11월 이후 두 번째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시기였던 2021년 외항사 승객은 17만5000여 명으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17만4000여 명)을 소폭 웃돈 바 있다.

당시 국내 방역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으면서 국적 항공사의 운항은 지연됐지만 입국 규제 해제가 비교적 빨랐던 외항사들은 공급을 다시 늘리던 시기였다. 사실상 정상 운항 상황에서 외항사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승객 수를 웃돈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라는 평가다.

외항사 승객이 급증한 것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는 가운데 한국인들의 해외여행도 늘면서 외항사들이 노선을 늘린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달 기준 인천공항에서 여객 노선을 운항한 외항사 수는 64개로 2년 전(40개)보다 60% 증가했다.

외항사가 한국 노선 운항을 확대하는 만큼 외항사 이용객 증가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이달 초 독일 루프트한자그룹의 스위스항공은 27년 만에 인천~취리히 주 3회 직항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미국 델타항공도 인천~애틀랜타 노선을 증편했다.

외항사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내놓는 항공권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외항사는 같은 시간대 항공편을 국내 항공사보다 수만 원에서 수십만 원까지 싸게 팔고 있다. 특히 국내 항공사들의 중국 노선 공급 회복이 더딘 사이 중국계 항공사들이 값싼 항공권을 앞세워 공급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