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는 미국 수소기업 플러그파워(Plug Power)와 함께 수소설비 생산기지 ‘기가팩토리(Giga-factory)’ 건설 등 국내 수소 산업에 총 1조원을 투자한다고 2일 밝혔다.

추형욱(왼쪽부터) SK E&S 대표이사 사장, 조지 맥나미 플러그파워 이사회 의장,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로저 마르텔라 GE CSO(최고지속경영책임자), 조석 HD현대일렉트릭 사장이 25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 D.C.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에서 열린 ‘한미 첨단산업·청정에너지 파트너십’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 E&S 제공

SK E&S는 지난달 25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미국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투자신고식’ 행사에서 플러그파워파워와 이 같은 내용의 합작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플러그파워는 청정수소 산업 전 생태계에 걸친 기술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6만개 이상의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과 200개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했다.

SK E&S와 플러그파워는 지난해 설립한 합작법인 ‘SK 플러그파워 하이버스’(SK Plug Hyverse)를 통해 총 1조원을 국내 수소 산업에 투자한다. 합작법인 지분율에 따라 SK E&S가 5100억원, 플러그파워가 4900억원을 각각 부담한다.

양사 투자금은 국내에 건설되는 ‘수소기술 R&D센터 및 기가팩토리’ 구축에 투입된다. 기가팩토리는 차량용·발전용 수소연료전지와 수전해설비 등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수소 핵심설비 생산기지’로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제품 양산을 본격화해 국내 및 아시아 시장에 공급한다.

양사는 국내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 운영 분야에도 투자한다. 전국 주요 지역에 액화수소 충전소를 구축하고 원활한 액화수소 공급과 인프라 조성을 통해 수소 모빌리티 확산을 지원하기로 했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와 비교해 대량 운송과 빠른 충전이 가능하다.

조지 맥나미 플러그파워 이사회 의장은 “SK 플러그파워 하이버스를 통해 가까운 미래에 한국은 아시아 수소 시장의 수출 허브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사장은 “미국의 선진 기술을 적용한 보령 블루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내 청정수소 생태계를 조기 조성하고, 한국이 세계 수소 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