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 구직자 10명 중 7명은 지방근무를 기피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가족·친구가 없고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들은 수도권 회사보다 연봉이 1000만원은 높아야 지방근무를 선택하겠다고 했다.
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수도권에 거주하며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 301명에게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지를 묻자 49.2%가 ‘다소 그렇다’, 23.6%가 ‘매우 그렇다’라고 답했다. 기피한다는 답변이 72.8%에 달하는 셈이다. 반면 ‘별로 상관없다’ 거나 ‘전혀 상관없다’는 응답은 각각 22.6%와 4.6%에 그쳤다.
비수도권 회사에 실제로 입사 지원하는지를 묻자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34.5%였다. 아무리 조건이 좋은 회사여도 지방에 있으면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가급적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1.6%였고, 공기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지원한다는 응답도 19.6%였다. ‘지역에 상관없이 지원한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가족·친구 등 네트워크가 없어서’(60.7%)라는 응답이 1순위로 꼽혔다. 이어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해서’(59.8%), ‘주거·생활비가 부담돼서’(48.9%) 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그밖에 ‘원하는 직장이 없어서’(14.2%), ‘성장기회가 부족해서’(6.8%), ‘결혼·자녀교육이 어려워서’(5.0%)라는 답변도 있었다.
회사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묻는 질문에서 수도권 청년들은 연봉(36.5%)과 근무지역(28.9%)을 각각 1, 2위로 꼽았다. 대한상의는 “수도권에서 근무할 수 있는지 여부가 높은 연봉만큼이나 회사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워라밸’(21.3%), ‘개인 커리어 개발’(9.3%), ‘회사의 성장 가능성’(2.7%) 순이었다.
실제 비슷한 수준의 두 회사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각각 위치할 경우 어디로 입사하겠느냐는 질문에 ‘수도권 회사’라는 응답이 98.3%로 압도적인 선호를 보였다.
수도권 회사를 택한 청년들에게 “연봉이 얼마나 높으면 지방 근무를 선택하겠느냐”고 질문하자 ‘100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2000만원과 500만원이 18.6%로 동일한 응답수를 기록했다. 연봉과 관계없이 아예 지방에 근무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6.1%)도 있었다.
서울에서 어느 정도 먼 지역에서까지 근무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4.1%가 ‘수원·용인’으로 답했다. 그보다 조금 아래인 ‘평택·충주’는 31.9%로 크게 하락했다. 중부권 중심지인 ‘세종·대전’(25.9%)의 경우는 ‘평택·충주’와 응답률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남부권 ‘대구·전주’(14.9%)에서는 다시 크게 떨어져, ‘세종·대전’이 수도권 청년들이 근무를 고려하는 지리적인 마지노선으로 나타났다. 거리에 상관없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청년들은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새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지역 생활여건 개선’(38.5%)을 꼽았다. 인구를 단순 유입시키는 차원을 넘어 그 안에서 자족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주요기업 지방이전 촉진’(21.6%)이 꼽혔으며, ‘지역 거점도시 육성’(16.9%), ‘공공기관 이전 확대’(9.3%), ‘지역 특화산업 육성’(7.3%)등이 뒤를 이었다.
전인식 대한상의 산업정책실장은 “지역불균형 해소의 핵심은 결국 미래세대인 청년과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기업이 스스로 찾아와 정착하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며 “청년 눈높이에 맞게 지역 생활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기업에 친화적인 제도와 인프라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