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올해 전기차 부품과 차량용 칩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모비스의 북미 지역 스타트업 투자 거점인 모비스 실리콘밸리 벤처스(MVSV)가 지난 23일(현지 시각)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투자 설명회 '모비스 모빌리티 데이' 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현대모비스는 23일(현지 시각)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개최한 투자 설명회 ‘모비스 모빌리티 데이’에서 이같은 계획을 소개했다. ‘모비스 모빌리티 데이’는 현대모비스의 기술 개발 현황과 미래 비전을 현지 기업들과 공유하고 앞으로 투자 계획을 설명하는 행사다.

미첼 윤 모비스 실리콘밸리 벤처스(MVSV) 디렉터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부품에 대한 투자를 늘려 나갈 계획”이라며 “투자 비중을 기존 절반에서 70%까지 늘리고 파트너십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투자 규모를 밝히지는 않았다.

윤 디렉터는 “세계 전기차 시장이 일시적으로 수요 둔화를 겪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친환경 차량의 시대는 도래할 것”이라며 “자동차 산업에서 지속가능성과 청정 기술 혁신에 대한 투자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량용 반도체 투자도 늘린다는 방침이다. 윤 디렉터는 “하드웨어뿐 아니라 차량 내 소프트웨어의 AI(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구현하려면 고사양 칩이 필수적”이라며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를 겪으면서 안정적인 칩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반면 그간 큰 비중을 차지하던 자율주행 관련 투자는 줄이기로 했다. 사실상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4까지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고, 비용 부담이 커 시장이 침체됐다는 게 윤 디렉터의 설명이다. 실제 포드와 폭스바겐의 자율주행 합작사 아르고AI는 지난 2022년 문을 닫았고, 애플은 최근 자율주행 전기차 개발을 포기했다.

MVSV는 현대모비스의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거점 중 하나다. 미래 모빌리티 신기술을 갖고 있는 글로벌 스타트업을 발굴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설립됐다. 현대모비스는 미국 실리콘밸리 외에 중국 심천에도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거점을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