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5008′은 프랑스 대통령의 의전차량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취임 두 달여 뒤인 2017년 7월 14일, 푸조 5008을 타고 프랑스 최대 국가기념일 ‘바스티유 데이’ 행사에 참석했다. 이때부터 공식 행사에 푸조 5008을 자주 타고 등장했다.

푸조 5008 앞 모습. /고성민 기자

마크롱 대통령은 그해 8월 프랑스 이블린에 위치한 레저센터에 방문해 한 아이에게 푸조 5008을 소개하며 의전차 뒷좌석에 탑승시켜주기도 했다. “무슨 차를 타고 왔어요? 람보르기니? 부가티? 페라리? 포르셰? 그 차는 트랜스포머인가요?”라고 묻는 아이에게 마크롱 대통령은 “트랜스포머는 아니지만, 방탄 기능을 갖춘 푸조 차”라고 답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017년 7월 14일 푸조 '5008'을 타고 프랑스 최대 국가기념일 ‘바스티유 데이’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푸조 제공

푸조 5008의 1.2 가솔린 퓨어테크 모델을 타고 서울 근교를 약 100㎞ 주행해 보니, 동급 대비 넓은 내부 공간과 수입 SUV로는 준수한 연비가 장점으로 느껴졌다. 반면 터보엔진임을 고려해도 동급 대비 배기량이 낮은 1.2 엔진은 도로에서 종종 힘에 부치는 모습이었다.

푸조 5008 가솔린은 스텔란티스코리아가 지난 4월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기존 푸조 5008은 디젤 모델만 있었는데, 올해 최초로 가솔린 모델을 들여왔다.

외부는 사자의 송곳니를 형상화한 주간주행등이 가장 눈에 띈다. 그릴 한가운데 배치된 사자 모양의 엠블럼과 범퍼까지 내려오는 날카로운 헤드램프는 상당히 독특한 디자인이다. 후면 램프도 사자의 발톱을 형상화한 세로 3줄 모양이 꽤 특이하다.

푸조 5008의 전장(차 길이)은 4650㎜, 전폭(차의 폭)은 1845㎜, 전고(차 높이)는 1650㎜다. 현대차(005380) ‘투싼’이나 기아(000270) ‘스포티지’와 차체 크기가 비슷한데, 휠베이스(자동차의 앞바퀴 중심과 뒷바퀴 중심 사이의 거리)는 투싼·스포티지(2755㎜)보다 85㎜ 긴 2840㎜다. 쏘렌토(2815㎜)와 모하비(2895㎜)의 중간쯤에 위치할 정도로 휠베이스가 길다.

푸조 5008 옆 모습. /고성민 기자

푸조 5008의 측면을 보면, 이 차의 휠베이스가 상당히 길다는 점이 보인다. 앞바퀴에서 범퍼까지, 뒷바퀴에서 범퍼까지의 거리가 짧다. 긴 휠베이스는 실내 공간을 보다 넉넉하게 확보할 수 있게끔 하는데, 푸조 5008은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갖췄다. 스포티지와 비슷한 차체로 7인승을 구현한 것이라 내부가 좁을까 걱정했는데, 루프(지붕) 라인이 차 맨 끝에서 거의 직각으로 떨어지는 설계로 2·3열 헤드룸(머리 위 공간)이 꽤 여유 있었다. 3열 레그룸(다리를 뻗는 공간)은 좁지만, 2열 레그룸은 성인 남성에게도 편안하다.

푸조 5008의 트렁크 공간은 기본 237리터(ℓ), 3열 폴딩 시 952리터, 2열까지 폴딩할 경우 2150리터에 달한다. 쌍용차 렉스턴(1977리터)보다 최대 적재 용량이 크다.

푸조 5008 뒷 모습. /고성민 기자

실용적인 공간 활용은 장점이지만, 달리기 성능은 부족하다. 푸조 5008은 1.2 가솔린 터보 엔진을 탑재해 최고 출력 131마력, 최대 토크 23.5㎏·m의 성능을 낸다. 아반떼 1.6 가솔린(123마력)과 비슷한 출력인데, 푸조 5008의 덩치와 무게가 훨씬 크다 보니 주행 도중 힘이 달려 차가 무겁다는 느낌을 종종 준다. 시속 80㎞를 넘어가면 가속이 힘에 부치고 주행 소음도 커진다.

수입차 치고 준수한 연비는 장점이다. 푸조 5008의 연비는 복합 기준 12.1㎞/ℓ로 투싼·스포티지(12~12.5㎞/ℓ) 등 국산 SUV와 연비가 비슷하다. 수입 가솔린 SUV 중에선 동급 대비 최상위권이다.

푸조 5008 실내. /고성민 기자

푸조 5008의 가격은 알뤼르 트림 5000만원, GT 트림 5300만원, GT 팩 트림 55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