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나베이샌즈(MBS)의 입점 요청도 있었죠. 다만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아 거절했습니다.”

일년 내내 더운 날씨로 쇼핑몰이 발달한 싱가포르에서 현지 쇼핑몰 운영사가 최근 먼저 손을 내미는 빵집이 있다. 바로 SPC그룹의 베이커리 전문점 파리바게뜨다. 올해만 두 곳의 쇼핑몰이 입점을 제안, 입구 목 좋은 자리에 입점을 확정했다.

작년 6월 싱가포르 중심지에 있는 대형 쇼핑몰 래플스시티몰이 자사 쇼핑센터 1층, 그 중에서도 입구와 맞닿은 핵심 매장의 간판을 파리바게뜨로 바꿔 달았다. 이는 싱가포르 식품·외식업계를 흔든 사건이 됐다. 이전까지 이 곳엔 세계 1위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가 입점해 있었다. 파리바게뜨가 스타벅스를 제치고 이 곳을 따낸 것이다.

지난 9일 싱가포르에서 만난 하나 리(Hana Lee) 동남아 지역 총괄 CEO(최고경영자)는 “현지 시장에 맞춰 거의 모든 것을 바꿨다”고 말했다. 그는 2019년 파리바게뜨 싱가포르 법인에 합류했다.

하나 리(Hana Lee) 파리바게뜨 동남아 지역 총괄 CEO. /배동주 기자

싱가포르인인 리 CEO는 맥도날드 싱가포르 법인의 브랜드·마케팅 매니저를 시작으로 현지 식품 기업 커먼웰스 캐피탈 등에서 20년 넘게 일한 식품산업 전문가로 통한다. 2012년 싱가포르 진출 이후 실적 악화를 겪었던 SPC그룹이 현지화를 목표로 리 CEO를 발탁했다.

특히 2014년부터 SPC그룹 파리크라상 글로벌 부문을 맡아 파리바게뜨 글로벌 진출을 주도한 허진수 파리크라상 사장이 2019년 직접 싱가포르를 찾아 리 CEO를 뽑았다. 리 CEO는 “허 사장과 매달 한번 이상은 사업 현황 회의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리 CEO는 파리바게뜨의 사업 구조부터 바꿨다. 포장 중심이었던 파리바게뜨의 사업 구조를 매장 내 취식으로 변경했다. 특히 쇼핑몰에 작은 규모로 입점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매장 규모를 키우고, 아이온몰이나 래플스시티몰에는 플래그십(대형) 매장을 냈다.

리 CEO는 “싱가포르는 쇼핑몰에 있는 음식점에서 식사를 해결하고 시간을 보내는 문화가 발달했는데, 파리바게뜨는 빵을 포장해 가는 한국 방식이 그대로 적용됐다”면서 “매장 내 좌석 비치를 늘리고 새로 문을 여는 매장은 일단 대형화·고급화하는 데 주력했다”고 강조했다.

운영 방식도 완전히 바꿨다. 취급 품목을 줄여 매장 운영을 개선하는 대신 샌드위치, 케이크 등 파리바게뜨를 찾은 고객을 오래 붙들어 놓을 수 있는 전략을 수립했다. 또 직원 교육을 진행 커피 등 음료와 베이커리 직군의 구분 없이 일할 수 있는 구조를 짰다.

리 CEO는 “매번 새로운 매장의 문을 열 때마다 해당 매장의 운영 데이터를 모아 부족한 점을 개선했다”면서 “가령 케이크의 매장 입구 배치는 파리바게뜨의 케이크 제품의 인기가 높고, 이 경우 매장 매출이 는다는 점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싱가포르에서 운영되는 파리바게뜨 매장 수는 14개(작년말 기준)다. 2019년 10개(공항점 제외)와 비교해 4곳이 늘어난 수준이지만, 이 기간 싱가포르의 프랜차이즈 제과점은 203개에서 189개로 줄었다. 코로나19 여파로 고객 발길이 크게 줄어들면서다.

리 CEO는 “코로나19 기간을 오히려 기회로 봤다”면서 “매장 제품을 모두 개별 포장으로 변경해 배달에도 빠르게 대응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래플즈시티몰, 베독몰, 티옹바루몰의 입구 매장을 선점한 파리바게뜨의 하루 방문 고객은 2021년 대비 53% 늘었다.

하나 리(Hana Lee) 파리바게뜨 동남아 지역 총괄 CEO. /배동주 기자

재무 구조도 개선됐다. 2019년 93억원을 넘어섰던 당기순손실은 2020년 78억원으로 2021년 37억원으로 꾸준히 감소, 작년 6억원대로 떨어졌다. 특히 2019년 213억원 수준이었던 매출은 2021년 400억원대를 거쳐 지난해 약 670억원으로 200% 넘게 증가했다.

싱가포르의 성장을 이끈 리 CEO는 현재 싱가포르뿐만 아니라 동남아 지역 전체의 매장 확대 및 사업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에 현지 기업과 설립한 합작법인에 이사로 참여하고, 지난해에는 베트남 지역 통합 법인장에도 올랐다.

리 CEO는 “베트남은 파리바게뜨가 동남아 진출 첫 번째 지역으로 정했던 곳이지만, 호치민과 하노이 두 곳에 법인을 둬 운영 효율이 떨어졌다”면서 “또 최근엔 마스터프랜차이즈(MF) 확장 전략을 정했는데, MF 접근이 현지 시장 대응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리 CEO는 올해 말레이시아로의 확장도 추진한다. 지난 1월 말레이시아에 첫 번째 매장을 낸 데 더해 공장 건설에도 나섰다. 한국에서 휴면 반죽을 들여와 현지에서 제조 판매하는 방식이 제품 품질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면에서 부담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싱가포르에 인접한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에 연면적 1만 2900㎡ 규모 공장을 신설하기로 했다. 리 CEO는 “파리바게뜨 최초의 할랄 휴면 반죽 제조 시설”이라면서 “품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용은 낮추는 동남아 지역 핵심 기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리바게뜨는 동남아를 넘어 중동, 서아시아, 아프리카까지 진출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하나 리 CEO의 공식 직책은 동남아 지역 총괄이지만, 두바이, 인도 등도 담당하고 있다. 그는 “2030년까지 600개 매장을 내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