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절인 1일 정부서울청사가 있는 서울 광화문과 국회의사당이 있는 서울 여의도 등지에서 노동단체들이 집회를 열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등 양대노총 집회에는 3만3000여명의 조합원이 집회에 참가했다.

노동절인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제134주년 세계노동절 기념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서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뉴스1

한국노총은 이날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제134주년 세계노동절 기념 전국 노동자대회’를 열고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 추진, 주4일 근무제 쟁취, 최저임금 차등 적용 시도 중단 등을 요구했다. 의사당대로 4개 차로에서 진행된 이날 집회에는 8000여명이 참가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지난 총선에서 국민은 정권 심판이라는 확실한 결단을 보여줬다”며 “윤석열 정부가 남은 3년의 임기를 채울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민심을 받아들여 반(反)노동 정책을 포기하고 국정 기조를 대전환하는 것뿐이다”라고 했다.

같은 시각 민주노총은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사거리 동화면세점 앞에서 ‘2024 세계노동절 대회’를 열고 윤석열 정권 퇴진과 노동권 보장, 노란봉투법 통과, 최저임금 인상 등을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해 춘천지법 강릉지원 주차장에서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앞두고 분신해 숨진 민주노총 건설지부 간부 고(故) 양회동씨의 모습과 유서가 담긴 동영상을 틀고 “양회동 열사의 정신을 계승하자” 등의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윤석열 정권 2년 동안 우리 사회 노동자들의 삶은 나락으로 곤두박질쳤다”며 “폭력배로, 공갈 협박범으로 매도당한 양회동 열사는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의 몸에 불을 댕겼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심을 외면한 정권은 민중의 준엄한 심판을 받았지만 반성하지 않고 있다”며 “우리 힘으로 윤석열 정권을 반드시 몰아낼 것”이라고 했다.

앞서 민주노총 산하 건설노조 등 5개 노조는 이날 낮 12시쯤부터 서대문구 경찰청 앞 등 곳곳에서 사전대회를 연 뒤 본대회에 합류했다.

건설노조 장옥기 위원장은 사전 결의대회에서 “양회동 열사는 강압 수사에 분신으로 호소했다”며 “윤석열 정권은 자신의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 노동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노조를 가장 악랄하게 탄압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민주노총 집회에는 2만5000여명이 참가했으며, 서울 중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대한문까지 약 600m 구간의 전체 8개 차로 중 6개 차로를 막은 채 진행됐다. 집회 직후 1만5000여명의 집회 참가자들은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까지 행진하면서 교통 체증이 발생하기도 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도 이날 오전부터 노동절을 맞아 시위를 벌였다. 전장연은 오전 8시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승강장에서 드러눕는 시위를 시작으로, 시청역 환승 통로에서 집회를 한 뒤 민주노총 집회에 합류했다.

부산에서도 마트 근로자들이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 전환’을 반대하며 카트를 끌고 행진했고, 택배기사들은 택배차량을 끌고 시위에 참가했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일 오후 서울 광화문네거리에서 가진 2024 세계 노동절 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권이 노조법 2·3조 개정안을 거부하고 중대재해처벌법 확장 적용을 반대하는 등 반노동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윤석열 정권의 퇴진을 촉구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