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 시작된 서울시의 공공자전거 서비스 ‘따릉이’는 서울시민들의 교통수단으로 안착했다. 하지만 연간 적자가 100억원을 넘어서면서 올해 요금이 인상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요금 인상과 같은 단발성 대책으로는 적자 개선이 어렵다고 지적한다. 조선비즈는 국내외 공공자전거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따릉이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향을 짚어본다.[편집자주]

서울 시내의 따릉이 대여소./뉴스1

서울시민의 발로 자리잡은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지난 2010년 첫 페달을 굴렸다. 당시 서울시는 440대 규모로 공공자전거 대여 사업을 시작했는데, 2015년 결제·대여·반납 플랫폼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구현해 따릉이란 이름을 붙였다. 따릉이 도입 대수는 2016년 5600대에서 2021년 말 기준 4만500대까지 늘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 서울시 우수 정책 1위로 꼽힐 정도로 시민 반응도 좋다.

하지만 따릉이는 13년 만에 처음으로 이용요금 인상을 앞두고 있다. 애초 이용요금으로는 운영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구조로 설계돼 가격을 소폭 인상하는 것으로는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친환경 교통수단을 확대하고 교통 소외계층을 돕기 위한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됐지만 이제는 수익성 개선 방안을 찾을 때라는 지적이 서울시 안팎에서 제기된다.

3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현행 따릉이 요금체계는 ▲1일권과 ▲정기권으로 나뉜다. 구매량이 가장 많은 1일-1시간 이용권 가격은 1000원이다. 1일-2시간 이용권은 2000원이다. 정기권은 ▲7일권(1시간 기준 3000원) ▲30일권(1시간 기준 5000원) ▲180일권(1시간 기준 1만5000원) ▲365일권(1시간 기준 3만원) 등 4종이며, 1시간 이용권과 2시간 이용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당초 서울시는 이르면 올 상반기 중 따릉이의 이용요금을 인상할 예정이었다. 2시간 이용권을 없애면서 1시간 이용권도 ▲1일권 ▲3일권 ▲180일권 등 3종으로 줄인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최근 요금인상 시기와 인상 폭을 다시 조율중이다.

따릉이 이용요금이 오르게 되면 것은 2010년 사업 출범 이후 첫 인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을 출범하고 지난 13년 동안 이용요금을 2010년 기준으로 동결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올해 여러 상황을 고려해 요금 인상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따릉이를 이용하는 서울시민들은 요금 인상 소식에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사는 박모(27)씨는 “공덕동에서 여의도까지, 일주일에 2~3회 따릉이를 이용한다”며 “요금 인상이 반갑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에 사는 김모(31)씨도 “기존에 365일 이용권을 끊었는데 이용권 가격이 오른다고 하니 앞으로는 단기간 이용권을 살 것 같다”고 전했다.

◇ 고양·안산시, 적자 문제로 ‘공공자전거’ 사업 중단

따릉이의 요금 인상 배경에는 적자가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따릉이 사업으로 인한 연간 적자는 2016년 25억원에서 2021년 103억원으로 늘었다. 공공자전거 사업의 적자는 서울만의 문제는 아니다. 서울 외 지자체에서 공공자전거 사업을 운영하다 적자 등의 이유로 중단한 사례도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1년 공공자전거를 운영하는 지자체·공기업은 70곳으로 2017년(78곳)과 비교해 8곳이 줄었다.

한때 3000대의 공공자전거를 운영하던 경기 고양시는 2021년 5월 공공자전거 사업 ‘피프틴’에서 손을 뗐다. 피프틴이 없어진 자리를 ‘타조’ 등 민간 공유자전거 업체들이 차지했다. 고양시 관계자는 “피프틴 사업을 꾸릴 당시 적자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며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공공자전거 운영 위탁을 그만두게 됐다”고 말했다.

경기 안산시의 공공자전거 ‘페달로’도 2017년 1700대가 넘을 정도로 규모가 커졌지만 2021년 말 끝으로 사라졌다. 안산시 관계자는 “페달로 사업의 누적 적자가 94억원가량”이라며 “자전거 분실이 많고 유지·보수에 계속 예산이 투입되다 보니 적자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지자체들은 공공자전거 사업을 철수하거나 적자를 줄이기 위해 요금을 인상해야 하는 상황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 5년 간 따릉이 운영 규모가 급격히 확대되면서 저렴한 요금으로 계속 사업을 유지하기가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며 “공공자전거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인상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 사업 초기 대당 61만원 들어… 요금 수입보다 더 많은 운영비

그래픽=편집부

서울시가 2010년 시범사업을 시작할 당시 공공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 구축에 투입된 예산은 약 27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스마트 단말장치와 잠금잠치가 부착된 자전거 440대를 제작하고 대여·반납장소, CCTV, 관제 시스템을 설치하는 데 비용이 들어갔다. 총 사업비를 운영대수로 나눠 단순계산하면 대당 61만4000원 꼴이다.

서울시는 일단 이용요금을 낮게 설정해 대중 인지도와 이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판단, 기본요금으로 1000원을 책정했다. 원가에 한참 못 미치지만 자전거 1대를 600~700명 정도가 이용한다면 요금 수입으로 사업비를 충당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요금 수입 증가보다 도입 대수가 늘어난 데 따른 유지·보수 비용, 관리 인건비 증가 폭이 더 컸다. 자전거를 추가로 구입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대여·반납장소와 관리 인원, 시스템을 확장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전거가 제대로 반납되지 않은 경우 사람이 직접 가서 정해진 장소에 돌려놔야 하는 등 유지보수 비용도 만만치 않다.

따릉이 사업을 관리하는 서울시설관리공단에 따르면 따릉이 요금 수입은 2016년 8억7500만원에서 2021년 140억3400만원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동안 운영비용은 34억2100만원에서 243억3900만원으로 뛰었다.

운영비 중 인건비가 2016년 16억2800만원에서 2021년 97억8100만원으로 6배 가까이 증가했다. 고장이 난 따릉이를 유지·보수하는 경비는 2016년 17억9300만원에서 2021년 128억2100만원으로 7배가량 뛰었다. 2016년 서울시가 따릉이 사업을 서울시설관리공단에 맡기면서 인건비, 유지·보수 경비를 제외한 각종 홍보, 인사 관련 비용인 간접관리비도 생겨났다. 간접관리비는 2017년 3억3700만원에서 2021년 17억3600만 수준으로 늘었다.

따릉이 사업에서 발생하는 적자 폭을 줄이기 위해선 ▲요금 대폭 인상 ▲광고 부착 등 새로운 수익모델 도입 ▲이용자 수 확대로 규모의 경제 달성 등을 추진해야 한다. 연간 운영비용을 이용건수로 나눈 건당 운영비용은 2016년 2123원에서 2021년 759원으로 감소했다.

한편 서울시와 서울시설관리공단은 따릉이 사업이 교통복지의 한 갈래이기에 적자가 생길 수 있다면서도 지속 가능한 사업을 위해 체질 개선을 고민하고 있다. 서울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차체 개선 등으로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 배송 및 정비시스템을 개선하는 방안, 기업 대상 대량이용권을 판매해 수익구조를 다변화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서울시는 따릉이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따릉이 대여소와 차체 등에 광고를 부착하려다 무산된 바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과 10월에 걸쳐 따릉이 광고 입찰을 진행했는데, 정부 자산 처분 플랫폼 온비드에 따르면 당시 2년 90일 광고에 드는 비용은 6억3697만원이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수익구조 다변화를 위해 광고 유치를 추진했지만 응찰 기업이 없어 유찰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