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춘천시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높을 때 바람이 주로 중국 동북지역이나 중국 수도권인 허베이(河北), 산둥(山東) 지역에서 불어온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에서도 미세먼지가 유입된다는 추정도 나왔다.

서울·인천·경기북부 등에 오후 일시적으로 미세먼지 농도 '나쁨'이 예보된 9일 오후 서울 시내가 미세먼지 등으로 뿌옇다. /연합뉴스

국립환경과학원은 강원권 대기환경연구소가 작년 12월부터 올해 11월까지 측정한 춘천 초미세먼지 상세성분 결과를 16일 공개했다. 강원권 대기환경연구소는 지난해 12월부터 정상 운영을 시작했다.

환경과학원은 춘천에 대해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강원 영서지역에 있지만, 서울과 비슷한 초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보이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강원권 대기환경연구소 측정 기간 춘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18㎍/㎥로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다른 지역보다 유기탄소 비율이 높았다. 춘천 초미세먼지 구성비를 보면 유기탄소가 29%였고, 이어 질산염(26%), 황산염(15%), 암모늄염(14%) 순이었다. 유기탄소 비중은 여름과 가을에 높았고, 봄과 겨울에는 질산염이 비율이 더 높았다.

환경과학원은 유기탄소 비율이 높은 데 대해 “지역 내 생물성 연소에 의한 배출이나 주변 산림지역에서 배출된 자연적휘발성유기화합물(BVOCs)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야외에서 쓰레기를 불법소각 하는 경우가 아직 남아있고, 춘천에서 유명한 닭갈비 등 나무를 태워 고기를 직화로 익히는 대형 음식점들이 많이 있는 점이 원인인 셈이다.

제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인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춘천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았을 때, 춘천에는 주로 중국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동북권역이 50%, 허베이·산둥지역이 42%였다.

국립환경과학원 분석 결과 강원 춘천시 지역에서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았을 때, 산둥반도를 거쳐 유입된 기류(그림의 '기류3')일 경우 질산염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둥반도 지역에서 다량의 초미세먼지 전구물질이 수도권을 거쳐 2차 초미세먼지로 변환한 후 춘천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부 제공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던 기간에는 질산염 비율이 약 13% 증가했다. 환경과학원은 “산둥반도를 거쳐 유입된 기류일 때 질산염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산둥반도 지역에서 다량의 초미세먼지 전구물질이 수도권을 거쳐 2차 초미세먼지로 바뀐 후 춘천으로 유입됐다”고 추정했다. 대기 중 화학반응으로 미세먼지를 생성하는 전구물질에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암모니아 등이 있다.

올해 1월 춘천에 초미세먼지가 짙을 때 유입된 바람의 36%는 북한발이었다. 북한은 아직 난방 등을 위해 나무를 태우는 경우가 많아 ‘생물성 연소에 의한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북한은 미세먼지 배출원 자료가 없어 북한발 미세먼지가 국내에 얼마나 유입되는지 분석이 어렵다.

강원권 대기환경연구소는 중국뿐 아니라 수도권과 북한이 지역 미세먼지 농도에 미치는 영향도 지속해서 연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