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거취를 두고 또 한 번 ‘설’에 휘말렸다. 지난해 ‘총선 출마설’에 이어 ‘내각 합류설’까지 제기되면서 금감원 조직 내부도 어수선한 모습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3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금융감독 업무 혁신 등을 위한 금융감독원-네이버 업무협약식을 마치고 백브리핑을 하고 있다. / 뉴스1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여당 참패로 귀결된 4·10 총선 이후 이복현 원장의 거취와 관해 ‘내각 합류설’이 급속도로 확산됐다. 총선 결과를 놓고 대통령실 개편 움직임이 일면서 이 원장이 신설되는 법무 수석으로 자리를 옮기거나 민정수석으로 기용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이 원장이 금융위원회 회의에 불참하고 임원 회의를 돌연 취소하는 등 개인적인 이유로 휴가를 제출하면서 내각 합류설에 불을 지폈다. 이후 이 원장이 올해까지 감독원장 역할을 마무리할 것이란 의지를 강조하면서 용산행 논란은 일단락됐다.

지난해에는 이 원장의 총선 출마설이 끊이지 않고 제기됐다. 10월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와 연말 기자간담회 등에서 총선 출마를 묻는 질문이 이어졌다. 그 때마다 이 원장은 “금감원에서 제가 할 역할이 있다”며 선을 그었다.

최근 금융가 풍경을 보면 금융당국의 수장 공백 상황이 야기할 문제가 한 두개가 아니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제재 절차가 개시됐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리스크 관리, 잇따른 은행권 비위행태로 내부통제를 비롯해 자본 시장 질서 확립 등 굵직한 현안이 산적해 있다.

일각에서는 금감원이 홍콩H지수 ELS 자율배상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만큼 마무리까지 이 원장이 챙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신한은행과 하나, 우리은행이 자율 배상을 시작했고 KB국민은행은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NH농협은행과 SC제일은행 등도 전수조사 단계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금감원 내부에서도 이 원장의 거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장이 바뀔 경우 업무 진행에 있어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면서 “이복현 원장 거취는 늘 관심의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의 임기는 내년 6월까지다.

IT조선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