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약 2주 뒤로 다가온 가운데, 서울시가 여의도 재건축을 진행하기 위한 사전준비 작업에 돌입했다. 새로운 서울시장이 여의도 재건축의 정상적인 사업 진행을 결정했을 때 보다 빠르게 행정절차를 완수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8월 4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내려다본 여의도 아파트 숲 전경.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5일 ‘여의도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수립 관련 교통영향평가 용역’을 공고했다. 지구단위계획을 확정하기 위한 막바지 용역이다. 시는 "여의도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하는 교통영향평가 용역"이라면서 "사업지와 주변의 교통 환경변화를 예측하고, 교통상의 각종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을 마련해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따른 교통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용역을 공고한 것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절 부동산 시장 불안정을 이유로 여의도 재건축을 원천 봉쇄했던 것과 비교해 사뭇 달라진 분위기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여의도 재건축은 당초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으로 함께 추진됐다. 지구단위계획은 아파트 단지들이 재건축 정비사업 계획을 수립하기 전 마련하는 상위계획으로, 개별 단지 정비계획의 정합성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시는 2017년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 계획을 짜고, 이듬해인 2018년 3월 교통영향평가 용역을 공고했다. 그러나 박 전 시장은 2018년 8월 서울시청에서 긴급 기자설명회를 열고 돌연 "주택시장의 이상 과열 조짐이 있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주택 시장이 안정화될 때까지 여의도 개발 계획 발표와 추진을 보류하겠다"고 밝히며 보류했다.

이때부터 시는 부동산시장이 안정화될 때까지 여의도 재건축이 불가하다는 태도를 보였다. 실제 여의도 시범아파트가 재건축을 위한 정비계획 결정을 요청했으나 서울시는 ‘지구단위계획이 결정되지 않아 재건축사업을 진행시킬 수 없다’며 번번이 거절했다.

이번에 진행되는 여의도아파트지구 교통영향평가 용역은 2018년 박 전 시장이 여의도 재건축 불가능을 결정한 이후 3년여 만에 다시 시행되는 것이다. 시는 2018년 발주한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수립 관련 교통영향평가 용역’에서 여의도만 대상에서 제외한 뒤 반포·서초에 대해서만 2019년 용역을 완료했다. 이번 용역의 과업 기간은 오는 12월 31일까지여서 이르면 내년초 여의도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될 전망이다.

2018년 10월 17일 서울 시청광장에서 여의도 시범아파트 주민들이 “단지 노후화로 주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서울시에 재건축 사업 진행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다만 차기 서울시장이 박 전 시장처럼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 될 때까지 여의도 재건축 진행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일 경우 여전히 재건축이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시 관계자는 "여의도 재건축을 진행할지 여부는 차기 서울시장이 결정할 일이라고 본다"면서 "재건축이 진행될 때를 대비해서 행정절차를 해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압구정과 목동 일대 재건축 단지 집값은 꿈틀대고 있다. 압구정에선 잇따라 재건축 조합이 설립되고 있고, 목동에선 여러 단지가 1차 안전진단을 통과하는 등 훈풍이 불고 있다. 서울시장 후보자들도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카드를 연이어 들고 나왔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정부에서 비합리적인 재건축 규제 때문에 많은 시민분들이 불편함은 물론이고 안전 문제까지도 고통받고 있다"면서 "앞으로 서울시와 중앙정부가 제대로 협의 체계를 구성해 재건축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는 "취임하면 일주일 안에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서울시 방침(재건축·재개발 규제)을 바꿀 수 있다"면서 "여의도, 상계동, 목동, 압구정동, 대치동, 자양동 등 노후 아파트의 재건축·재개발을 풀면 5만~8만가구 물량이 공급된다"고 했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도 "서울시가 양천구의 빼어난 도시기능에 교통의 요지라는 프리미엄을 붙여 주민들의 삶의 질을 한 차원 더 높여 드리겠다"며 목동아파트 재건축 지원을 공약으로 내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