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 말까지 5G 국가망 설계, 운영방안, 소요예산 계획 수립
행정안정부가 첫삽…2025년까지 정부청사, 주요 지차체로 확대
국가재난망 사업서 쓴맛 본 LG유플러스, 이번에는 선전할지 주목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에 따라 5G 국가망 프로젝트가 속도를 낸다. 5G 국가망은 5G 기술을 전국 국가·공공기관에 적용해 기존의 유선 기반 PC 접속환경을 무선망으로 개선하는 ‘디지털 뉴딜’의 일환이다. 이를 통해 비대면 근무 등 유연 근로가 가능해져 공직 사회에 혁신을 불어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2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내년 7월말까지 5G 국가망 ISP(정보화전략계획) 수립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국가기관 통신망에 5G를 도입, 출장이나 재택 근무시에도 5G를 활용해 국가망에 접속할 수 있는 업무환경을 구현하는 것이다.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고 있지만 그동안 대다수 공공분야는 개인업무 공간 외에서는 PC 이용이 불가능하다. 영상회의 등 즉각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환경으로 외부에서 소통형 업무에 어려웠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 행안부는 차세대 이동통신인 5G 기술로 공무원의 이동형 업무를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노트북,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로 어디서나 5G 무선으로 국가망에 접속케 하는 것이다.

NIA는 이 사업의 구체적인 설계를 담당할 수행기관을 이달 31일까지 모집한다. 통신사인 KT(030200)를 포함해 LG CNS, SK주식회사 C&C 등 IT서비스 기업들이 중소업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면동에 위치한 KT 공공안전통신망 기술검증센터에서 연구원들이 재난망 통신을 테스트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재난망 구축 ISP에서는 LG CNS가 KT, SK㈜ C&C를 제치고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ISP는 사업 금액이 크지는 않지만 이를 통해 망 설계 등 구체적인 전략과 로드맵을 결정한다. 수주할 시 계열 통신사들과 함께 향후 여러 5G 국가망 사업들을 수주하는데 있어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당시 LG유플러스(032640)는 같은 계열사인 LG CNS의 ISP 수주에도 불구하고 1조7000억원대 규모인 국가재난망 본 입찰에서 SK텔레콤과 KT에 밀려 탈락한 바 있다. KT와 SK텔레콤은 국가 재난망 본사업의 A·B사업구역과 C사업구역의 우선협상대상자로 각각 선정됐다.

이에 이번에는 같은 그룹 계열사 IT서비스 기업 대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직접 ISP 사업 수주에 뛰어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거꾸로 KT는 그룹내 IT서비스 자회사인 KT DS가 본사 대신 나설수도 있다.

선정된 기업은 내년 7월까지 ISP를 수립한다. 행안부는 이를 기반으로 2022년부터 행안부 내 5G 국가망을 선도 구축하고, 2023~2024년 중으로 4개 정부청사(세종, 서울, 과천, 대전)에 도입한다. 2025년까지 17개 지방 광역시와 도청서 도입한 후 전 지자체로 확산한다는 목표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통신 3사간 사업 수주가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실증사업 규모만 300억원 규모인데, 향후 구체적인 프로젝트 발주를 봐야겠지만 2025년까지 사업 규모는 못해도 수천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앞서 통신 3사는 올해 6월 5G를 국가망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기에 앞서 5개 정부기관에 기술과 보안성 등을 검증하는 실증 사업을 진행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은 통신 3사가 B2C(소비자간거래)·B2B(기업간거래)와 함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은 B2G(정부간거래) 사업의 핵심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번 ISP 단계에서 국가망과 5G 기지국(3.5GHz, 28GHz), 5G 코어망과의 연동에 따른 상세 설계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현재 정부는 통신 3사에 5G 전국망 조기 확산을 위한 투자를 촉구하고 있다. 5G 국가망 본사업은 내년부터 5G 전국망을 빠르게 확대하는 곳이 유리할 것으로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