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안 통해 사지 썩어들어가는 질환
줄기세포 치료제 효과 분석 못해 상용화 걸림돌
김광명 박사팀, 정밀 영상촬영 통한 분석 기술 개발

혈액 공급 장애로 다리가 괴사된 쥐에게 혈관내피 전구세포를 이식한 후 28일간 치료 효과를 분석한 모습.

허혈성 질환을 줄기세포로 치료하는 기술의 상용화 길이 열렸다. 허혈성 질환은 발끝 등 신체의 일부에 피가 잘 통하지 않아, 심하면 썩어들어가는 질환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광명 박사 연구팀이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체내 이식 후 영상 분석을 통해 치료 효과를 측정·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비만, 당뇨, 고혈압 발병률이 증가하면서 혈액 공급에 지장이 생기는 허혈성 질환 고위험군도 늘어나고 있다. 새로운 혈관을 만드는 줄기세포인 혈관내피 전구세로’를 통해 괴사한 신체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지만, 치료 효능을 측정·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아직 임상단계에 머물러 있다. 때문에 아직 상용화된 치료제는 없다.

연구팀은 3차원의 혈관 분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형광 분자 단층 촬영’을 통해 줄기세포 치료제의 치료효과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다리가 괴사한 쥐에게 줄기세포를 이식한 후 28일 동안 영상 촬영해 분석한 결과, 다리의 혈액 공급이 점차 다시 원활해졌음을 발견했다.

나아가 줄기세포가 몸속에 이식될 때 넓게 퍼지지 않고 둥글게 응축된 모양을 유지할 경우 향후 치료 효과가 더 좋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 박사는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허혈성 질환 치료 효과를 초기에 예측해, 줄기치료제 개발과 효능 향상에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