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DGIST, 전극 구조 개선해 전극에 불순물 쌓이는 문제 해결

ETRI 연구진이 개발한 이온 확산 기반 전고체 전극의 특성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용 차세대 배터리 후보로 꼽히는 전고체 배터리의 용량(에너지밀도)을 기존의 1.5배로 키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원활한 리튬이온 확산 특성을 규명해 새로운 형태의 전고체 배터리 전극 구조를 설계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성과는 ‘에이시에스 에너지 레터스(ACS Energy Letters)’ 지난달 게재됐다.

전고체 배터리는 이온이 두 전극을 지나다니는 통로인 전해질을 고체로 만든 배터리다.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폭발과 화재의 위험성이 줄어들고 같은 부피당 저장할 수 있는 전기 용량도 높일 수 있다. 다만 현재 전고체 배터리는 주로 황화합물을 전해질로 사용한다. 황화합물은 배터리 작동 시 전극에 불순물이 생겨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구조 개선을 통해 전극에는 고체 전해질을 넣지 않아도 되는 새로운 형태를 고안했다. DGIST의 슈퍼컴퓨터로 전기화학실험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이론적으로 높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였고, ETRI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전극을 더 얇게 만드는 등의 후속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 연구를 이끈 이영기 ETRI 박사는 "에너지밀도를 더욱 높이는 원천 기술을 확보해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를 이루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