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화웨이 제재에 반도체 시장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다. 미국 마이크론이 화웨이 판매 허가를 받지 못했다는 소식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실적에도 부정적 예상이 나온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미국 마이크론은 올 6~8월 매출 60억6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직전 분기(3~5월)의 54억4000만달러, 지난해 같은 기간의 48억7000만달러보다 증가한 수치다. 마이크론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이은 세계 3위 D램 생산업체다.

호실적에도 시장 반응은 부정적이다. 마이크론은 실적 발표와 함께, 다음 분기(9~11월) 실적이 악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지난달 15일부터 화웨이 제재가 본격화된 탓이다. 화웨이는 제재 발효를 앞두고 D램 등 반도체 재고를 쌓아왔다. 화웨이의 재고 구매가 사라진만큼, 9월 이후 반도체 수요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화웨이는 지난해 208억달러(약 24조7000억원)의 반도체를 구매한 ‘큰손’이기도 하다. 이는 애플(361억달러), 삼성전자(334억달러)에 이은 세계 3위 규모다.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컨퍼런스콜에서 "지난달 15일 제재 발효 이후 미국 정부에 새로운 판매 라이선스를 신청했지만, 언제 실현될지 장담할 수 없다"며 "화웨이를 대체할 다른 스마트폰 판매업체를 찾는 데까지 약 6개월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이크론의 부정적인 시장 전망에 D램 시장 경쟁사인 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마이크론과 같이 미국 정부에 화웨이향(向) 판매 라이선스를 신청한 바 있지만, 미국 회사인 마이크론이 허가를 받지 못한 만큼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라이선스를 받을 가능성은 더욱 적은 탓이다. 지난해 삼성전자 반도체(DS) 사업부와 SK하이닉스 매출 중 화웨이 비중은 각각 6%, 15%로 알려져 있다.

앞서 미국 인텔과 AMD가 일부 반도체 품목의 화웨이 판매 허가를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D램 시장에도 라이선스 발급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이 CPU(중앙처리장치) 등의 구매는 허가하고, D램이나 낸드플래시, 모바일AP 등 스마트폰용 제품 판매는 막아선 것으로 보인다"며 "마이크론이 언급한 내년 초까진 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D램 구매처를 찾기 힘들 듯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