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7월 발표된 ‘디지털 뉴딜’의 대표 과제인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7대 핵심사업들을 수행할 주요기업 등의 선정 작업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추진되는 ‘데이터 댐’ 7대 핵심사업은 과거 미국 대공황 시기의 ‘후버댐’ 건설과 같은 일자리와 경기부양 효과에 우리 미래를 위한 투자와 각 분야의 혁신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해 기획된 7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AI학습용 데이터 구축, AI 바우처와 AI데이터 가공바우처 사업, AI융합 프로젝트(AI+X),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클라우드 이용바우처 사업,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등에 약 5000억원의 추경예산이 투입된다.

데이터 댐 7개 사업의 연계 구성도.

우선 데이터 댐은 지난 6월 문재인 대통령이 밝힌 바와 같이 "공공과 민간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을 모으고, 그것을 표준화하고 가공·활용해 더 똑똑한 인공지능을 만들어 기존 산업의 혁신과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이다.

해당 사업들은 코로나19의 발생 이후 일자리 및 경기부양을 위한 기존 정책 분석과 주요기업들 등과의 협의를 통해 기초를 마련한 이후 디지털 뉴딜 과제 확정과정에서 수요에 기반해 세부과제들이 기획됐다. 7월 10일에 사업공고를 낸 이후 8월에 접수 및 평가 절차를 거쳤다.

업계 일각에선 사업의 중요성에 비해 기한이 너무 촉박하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각 분야 공공기관이 함께 참여한 역대 최대 규모인 총 4739개 기업·기관(주관: 2549개, 참여: 2190개)의 지원 속에서 최종 총 2103개 수행기관(주관: 1335개, 참여: 768개)을 데이터 댐 사업의 첫 해 지원 대상으로 확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에 발표된 사업들의 2020년 추경 일자리 기대효과를 약 2만4000여명으로 추산했지만 핵심사업인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의 참여기업들이 직접고용과 크라우드소싱 등으로 약 2만8000명을 제안했고 추가적인 과제조정 등을 통해 전체적인 일자리 창출이 당초 전망치를 상회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연계해주는 AI데이터 바우처 사업의 경우, 그 수요기업 중 비(非)ICT 기업 비율이 2019년 41.2%에서 2020년 추경사업에서 84.8%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본격적인 AI·데이터 등 서비스의 전 분야 확산이 진행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추경사업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크라우드소싱 기업과 클라우드 기업, 분야별 AI·데이터 솔루션 특화기업 및 SW기업 등 대부분이 참여하여 선정됐으며, 의료, 제조, 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기관들이 동참하여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고 혁신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수요발굴 및 기업검토 등 추진과정에서 교육, 행안, 환경, 산업, 중기, 국토, 문화, 농림, 해수, 고용부, 금융위 등 16개 정부부처와 20여개 전문기관들*의 범정부적 협력이 이루어졌으며, 대전·세종·광주·창원·제주 등 지방자치단체까지 전국적 참여도 이루어졌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짧은 기간 동안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댐 관련 추경사업에 대한 민간기업과 대학, 지자체 등의 높은 관심과 참여에 감사드리며 정부의 노력뿐만 아니라 민간의 투자와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법·제도적 인프라 구축도 병행함과 동시에 디지털뉴딜반(반장: 과기정통부 장관) 운영을 통해 관계부처 등과도 긴밀히 협력해 데이터 댐 관련 프로젝트의 차질없는 시행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