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5년까지 전기차와 소재 등 10대 주력산업 분야에서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산업 생태계 강화에 나선다. 4000억원 규모 산업 지능화 펀드를 조성해 선도기업에 60% 이상 집중 투자하고 규제 샌드박스·규제혁파 로드맵을 통해 데이터 수집·활용관련 규제를 신속히 개선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 회의 겸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1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그린뉴딜 분과반 1차 회의를 하고 있다.

이번 전략은 ▲기업 수요에 기반한 산업데이터 활용 지원 ▲데이터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산업 밸류체인 고도화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 등으로 구성됐다.

산업부는 오는 2025년까지 30개 업종을 대상으로 문제 해결형 산업데이터 플랫폼을 만들고 전기차·소재 등 전략 분야 중심으로 성공사례를 조기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데이터란 개발과 생산, 유통, 소비 등 산업 전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말한다.

산업데이터는 그동안 현장에서 쉽게 활용되지 못했다. 기업 영업비밀이 노출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데이터 범위와 내용이 방대해 기존 기술로는 활용가능한 형태로 처리되기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산업별 빅데이터 활용률을 보면 2018년 기준 제조업이 0.8%로 금융(20.5%)이나 통신(7.4%), 유통(2.2%)에 비해 크게 낮았다.

정부는 업계 수요를 파악해 산업 데이터를 수집, 공급,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지원할 방침이다. 전기차, 소재 등 10대 주력산업 분야 30개가 대상이다. 예를 들면 AI 전기차의 경우 개인정보인 '차량 운행 데이터', 산업데이터인 '부품 고장·검사 데이터', 공공 데이터인 '날씨 환경데이터' 등을 필요한 기업에 제공해 전기차 부품의 성능 개선에 활용하거나 혁신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조 과정중 일부를 기업이 자발적으로 공개한다고 하면 영업기밀 유출에 대한 부담이 적을 것"이라며 "산업계 수요가 중요해 데이터 플랫폼에 참여하려는 의향이 있는 기업을 중심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부는 산업 데이터, AI 활용을 통해 밸류체인을 고도화 하기로 했다. 미래 유망한 자율주행차, 로봇 배달 서비스, 스마트 전자제품, 자율형 선박, 디지털 발전소 등 유망 분야에 대규모로 통합형 R&D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4000억원 규모의 '산업 지능화 펀드'를 조성하고 선도 기업에 60% 이상 집중 투자한다.

산업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부는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고 미래 인재 양성도 준비한다. 혁신성장 촉진법을 신규 제정하거나 산업융한 촉진법 등 개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작년 기준 포스텍과 고려대에만 있는 석·박사급 AI 전문인력 양성 과정을 올해 서울대와 한양대에도 추가해 전문인력 1만6000명을 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