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홍콩에 있는 디지털 뉴스 기능 일부를 서울로 옮기기로 했다고 14일(현지 시각) 발표했다.

지난해 부터 이어온 반(反)중국 시위에 더해 최근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보안법) 통과로 인해 민주파 등 야당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면서 아시아의 금융 허브로서 홍콩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뉴욕 맨해튼에 있는 뉴욕타임스 본사 건물.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같은 날 홍콩의 특별 지위를 박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홍콩은 앞으로 중국 본토와 동일한 취급을 받을 것이다. 특혜도 없고, 특별한 경제 혜택도 없고, 민감한 물품의 수출도 없다"고 밝혔다.

NYT는 홍콩에 아시아 지역 디지털 뉴스 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NYT는 홍콩을 중심으로 365일 24시간 뉴스 운영 시스템을 가동해 왔다. 뉴욕 본사와 런던 본부 등과 더불어 3각 체제였다.

NYT는 이날 홍콩의 디지털 뉴스 기능 일부를 서울로 이관하는 결정의 배경을 설명하면서 홍콩이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의 최전선으로 떠오르면서 "홍콩이 아시아의 저널리즘 허브로서 전망이 불확실하게 됐다"고 전했다.

과거 홍콩이 수십년 동안 영어로 발행되는 언론사들에게 아시아 본부로서 역할을 해온 것은 홍콩 당국이 외국 기업에 개방적이고, 중국 본토에서 가까우며, 홍콩에서 언론의 자유가 오랫동안 보장됐기 때문이지만, 이제는 그러한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는 것.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NYT 등 3개 미국 언론에 대해 사실상 추방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직접적인 원인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유탄이지만,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이후의 홍콩 역시 이런 움직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 NYT의 분석이다.

NYT는 "일부 자사 임직원들은 노동허가증 확보에 위기를 겪고 있으며, 신문사 간부들은 (아시아) 지역에서 추가적인 (디지털 기능) 운영 거점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당초 뉴욕타임스는 홍콩의 디지털 기능 일부 이전 후보지로 서울 외에 태국 방콕, 싱가포르, 일본 도쿄 등을 검토했다. 이 중에서 서울은 외국계 기업에 친화적이고, 독립적인 언론이 있으며, 아시아 뉴스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