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김성규

국제사회의 제재로 경제 상황이 열악해진 북한이 해킹을 통해 외화를 훔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12일(현지 시각)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 거래가 늘어나는 추세까지 사이버 범죄에 이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의 한 해커는 패션 액세서리 체인업체 '클레어스'(Claire's)의 웹페이지에서 고객들의 신용카드 정보를 수 주에 걸쳐 빼돌렸다.

지난 3월 20일 코로나19 봉쇄령 때문에 클레어스가 오프라인 매장을 모두 닫자 북한 해커는 몇시간 뒤 업체 이름과 유사한 '클레어스-애셋'(claires-asset.com)이라는 도메인을 확보했다. 그리곤 클레어스 웹페이지에 심어놓은 악성코드를 이용해 확보한 도메인으로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빼돌렸다. 클레어스는 보안업체의 경고에 따라 지난달 13일에야 악성코드를 제거했다.

또 북한은 작년 말 유럽, 중동 등지의 기업 직원들에게 리크루터로 가장해 접근한 뒤 이메일 정보를 빼돌려 다른 기업에 거짓 청구서를 보내는 등의 수법으로 외화를 가로채려다 적발되기도 했다.

매체는 영국 안보 싱크탱크인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의 케일라 아이젠먼 연구원이 "북한이 사이버 도둑집단처럼 움직이는 것 같다"고 한 말을 인용하며 북한의 과거 사이버 절도 정황을 따지면 최근 발생한 사건은 새 발의 피라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 해커들은 2016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직원들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인증서를 도용해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일련의 송금 요청을 보내기도 했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북한은 이를 통해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계좌에서 8천100만 달러(약 973억원)를 가로채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독일 은행인 도이체방크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에 발각돼 10억 달러(약 1조2천억원)를 훔치는데는 실패했다.

국제연합(UN·유엔)은 북한 해커들이 훔친 외화가 20억 달러(약 2조4천억원)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며 용도는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이라는 분석을 담은 보고서를 작년에 발간하기도 했다.

북한은 그동안 미국과 유엔의 제재로 인해 국제 금융체계에서 거의 완벽하게 배제됐기 때문에 사이버 범죄에 몰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이로 인해 북한은 암호화폐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북한 해커들이 수많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침투해 수억 달러어치 암호화폐를 훔치거나 외국 정부의 추적을 따돌리려고 암호화폐를 5천 차례 이상 이전한다는 등의 지적도 있다.

영국 런던의 로얄유나이티드 서비스 연구소(RUSI) 아이젠먼 연구원은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범위나 규모를 따져 북한이 보유한 암호화폐가 얼마인지 어떤 추산치를 대더라도 결과는 그 곱절일 수 있다"고 했다.

보안 전문가들은 북한이 사이버 공간에 잠입해 가능한 많은 돈을 들고 달아나는 고전적 수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완전범죄에 접근하는 더 섬세한 기술을 구사할 것으로 전망했다.

매체는 보안업체 'F-시큐어 컨설팅'의 최고경영자인 에드 파슨스가 "북한 해커들이 자신들의 자취를 감추려고 혼신의 노력을 다한다는 명백한 증거를 확보한 바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