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 영업점포 수가 5분기 연속 증가하며 1000개 돌파를 앞두고 있다. 시중은행과 카드사 등 다른 금융업권이 오프라인 영업점을 줄여가고 있는 것과는 대비되는 모양새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지방은행의 영업점포는 총 976개로 집계됐다. 지방은행 영업점포는 2017년 2분기(972개)부터 지난해 1분기까지 7분기동안 감소세를 보였지만, 이후 증가세로 전환해 현재까지 5분기 연속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그래픽=이민경

은행별로 보면 경남은행이 지난해 1분기 161곳에서 올해 1분기 185곳까지 24곳이 늘어 가장 가파르게 증가했다. 경남은행 측은 "지점보다는 주요 거래처 등에 설치하는 출장소가 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는 전북은행이 96곳에서 108곳으로 12곳 늘었고, 광주은행도 143곳에서 146곳으로 3개 점포를 추가했다. 전북·광주은행을 보유하고 있는 JB금융지주(175330)측은 "다른 지방은행과 비교하면 수도권 점포가 많아 해당 지역 점포는 통폐합하는 대신, 지방 영업 기반 강화를 위해 타 지역 영업점은 늘렸다"고 설명했다. 부산은행과 제주은행도 각각 1곳씩 증가했다. 유일하게 대구은행만 250곳에서 245곳으로 5곳 줄었다.

지방은행 영업점포는 증가폭이 크진 않지만,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업권과 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영업점포는 지난 1년간 3652곳에서 3558곳으로 100개 가까이 줄었다. 신한·KB국민·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카드 등 8개 전업카드사 영업점포 역시 같은 기간 264곳에서 206곳으로 58곳 감소했다.

지방은행은 다른 업권과 달리 오프라인 영업점을 공격적으로 통폐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영업점 통폐합을 위해선 우선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실시돼야 하는데, 아직 지방은행은 시중은행이나 카드사 등에 비하면 디지털 전환 속도가 조금은 느린 것이 사실"이라며 "오프라인 영업점이 아직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 특성상 지역민 거래 비중이 높고, 특히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고령층 인구 비중이 높아 모바일 뱅킹 등보다는 지점 방문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 때문에 디지털 전환을 실시한다 해도 한동안은 점포를 빠르게 줄여나가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실제 각 시도별 인구 중 만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과 일부 지방 대도시(광주·대전·울산·세종·제주) 등만 30%대 선을 보였다. 전남·강원·경북 등은 절반에 가까운 46~47%가 고령층이었고, 이 외 나머지 시도 역시 모두 고령층 인구 비중이 40%를 넘었다.

다만 영업 환경과 인구 이동 등에 따라 지방은행 역시 점포 효율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 역시 공적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금융기관인 만큼 무조건 수익성에 맞춰 오프라인 점포를 줄여나가기엔 어려움이 있겠지만,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상황에 맞게끔 점포 효율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은행 중 점포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경남은행 측도 "올해 내에만 10개 점포를 줄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