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토 중국인의 홍콩 투자는 ‘공공연한 비밀’ 지난해 홍콩 신규 보험증서 25%는 본토 중국인 몫 홍콩 상장사 절반 이상은 중국 기업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을 놓고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확산하면서 그동안 홍콩 투자에 공을 들여온 중국 부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0일 보도했다.

홍콩의 대표적인 부유층 거주지역인 리펄스 베이의 풍경.

SCMP에 따르면 중국 부유층은 그동안 자본 유출입에 대한 제한이나 인터넷 검열이 없으며 독립된 사법부에 의한 법치가 보장되는 장점 등에 이끌려 홍콩을 투자처로 선택해왔다.

중국 정부는 본토 주민을 대상으로 강력한 자본 통제는 물론, 해외 주식·부동산·금융상품에 대한 직접 투자 금지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본토 중국인들은 홍콩에서 계좌를 개설하고 보험증서를 구매하는 한편 부동산을 거래해왔으며, 이는 공공연한 비밀이었다는 설명이다.

홍콩 보험업감독관리국에 따르면 지난해 홍콩 신규 보험증서의 25%는 중국 본토 주민이 샀으며, 홍콩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홍콩 주식시장에 투자한 중국 본토 주민 수는 2018년 영국인 수를 넘어 외지인 가운데 최대 규모가 됐다.

홍콩을 통해 해외시장에 투자해 온 중국인들도 많았다. 지난해 말 기준, 홍콩 상장사 중 50.7%인 1천241개 회사가 중국회사일 정도로 중국기업의 홍콩 상장도 늘어난 상태다.

하지만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 추진으로 정치적 자유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에 특별대우를 제공하는 정책적 면제 제거를 위한 절차를 시작하도록 행정부에 지시했다"고 발표하면서 본토 투자자들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홍콩과 인접한 광둥성의 투자자인 류안량은 SCMP 인터뷰에서 "홍콩이 특별한 무역상 지위를 잃을 경우 홍콩에 투자한 자산이 얼마나 오랫동안 안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걱정했다. 그는 이어 "홍콩달러 상당수를 조속히 미국 달러로 환전하고, 그 돈을 미국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식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면서 "홍콩 부동산 매각을 고려 중인 지인도 있다"고 전했다.

홍콩중문대 사이먼 선 교수는 "향후 미·중이 경제적으로 탈동조화할 경우, 홍콩에 대한 중국의 관리가 완화되지 않는 한 홍콩의 기존 기능은 장기적으로 유지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미·중 사이에 홍콩처럼 완충 역할을 할 곳이 필요한데, 홍콩이 향후 10년간에도 그러한 역할을 할지 아니면 싱가포르나 대만이 대신할지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홍콩 헤지펀드 업계 중에도 홍콩을 떠나는 것을 검토하는 업체가 나오기 시작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익명을 요구한 헤지펀드업체 고문은 FT 인터뷰에서 "홍콩이 중국의 다른 도시들처럼 될 것"이라며 "헤지펀드 업계는 싱가포르 등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했다.

홍콩에는 약 420개의 헤지펀드업체가 있어 2위인 싱가포르에 비해 80개 정도가 더 많은데, 이러한 홍콩의 지위가 위태로워지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