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예산을 지원받는 과학기술 분야의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카이스트 등 4대 과학기술원에서 발표한 논문 중에서 연구자의 미성년 자녀가 저자에 포함된 경우가 다수 발견돼 조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대학교수의 절반 이상은 부당한 저자표시 문제가 학계에 만연하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논문의 부당한 저자 표시 예방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구재단의 과제를 수행한 대학교수 21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1114명(51.1%)이 "부당한 저자 표시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는 다른 연구윤리 관련 부적절 행위인 '표절'(28.2%·616명), '논문 대필'(27.9%·608명)이 심각하다는 응답보다 높은 수치다.

이 조사에는 자연과학, 공학, 의약학, 인문학, 사회과학 등 전 학문 분야의 교수가 참여했다. 인문학과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조사 대상 중 51.4%가 이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했고, 공학 분야에서는 53.2%, 농·수·해양학에서는 무려 55.6%가 이 같은 답변을 내놨다.

연구재단은 보고서에서 "부당한 저자 표시 행위가 모든 학문 분야에 팽배해 있다"면서 "논문 실적을 내기 위한 연구자들의 압박감, 부당 저자 표시에 대한 안이한 인식, 연구자 간 온정주의 등 연구 윤리에 둔감한 연구문화, 미흡한 제재, 부당한 저자 표시를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사에서 2007년 이후 10여년 간 50개 대학 87명의 교수가 논문 139건에 자녀를 공저자로 올린 사실이 확인됐다.

국가 예산을 지원받는 4대 과학기술원에서 발표한 논문 중에서 연구자의 미성년 자녀가 저자에 포함된 경우가 다수 발견돼 정부는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현재까지 2007~2018년 발간된 출연연·4대 과기원 발표 논문 중 미성년자가 공저자로 참여한 논문을 154건 확인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