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체식품과 같은 미래 먹거리 산업 키우기에 나섰다. 인프라 지원과 규제 혁파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시장 규모와 일자리 수를 두 배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4일 제 5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28차 경제관계장관 회의를 거쳐 5대 유망식품 집중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을 관계기관 합동으로 발표했다. 인구 구조와 소비·유통 트렌드 분석을 통해 5대 유망 분야로는 ▲대체식품 등 맞춤형·특수식품 ▲기능성 식품 ▲간편식품 ▲친환경 식품 ▲수출 식품 등이 선정됐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이번 대책을 통해 정부는 5대 유망식품 분야 국내 산업 규모와 일자리를 2030년까지 두 배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2018년 12조4400억원 수준인 산업규모는 2022년 16조9600억원, 2030년에는 24조8500억원까지 늘리고, 일자리도 2018년 5만1000개 수준에서 2022년 7만 4700개, 2030년에는 11만 5800개까지 늘려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규제 개선 등을 포함한 분야별 대책과 함께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대책 마련에는 관계기관인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처가 공동으로 참여했다.

분야별로는 맞춤형·특수식품의 경우 제도 개선과 지원을 통해 초기 시장 형성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식물성 대체육 등 대체식품, 애완동물 먹거리 시장인 펫푸드 시장, 고령화 시대에 적합한 고령친화식품 등 각 분야에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관련 기준을 마련하는 등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것이다.

또 연평균 5.9% 성장률을 보이는 세계 기능성 식품 시장을 고려해 기능성 식품에도 규제 및 지원체계를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과학적으로 기능성이 증명되면 일반식품도 해당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도록 기능성 표시제를 도입하는 등이다.

1인가구 증가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인 간편식품 분야는 연구지원과 함께 농어업인과 중소기업이 함께하는 간편식 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지원한다. 민간 주도 성장동력의 확산을 위해 급속 냉·해동 기술의 연구개발에 대한 세제 지원, 프리미엄 상품 개발을 위한 R&D 지원을 검토하는 등이다.

친환경식품은 인증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유기농산업 복합서비스단지’ 등을 조성해 생산 인프라를 확충하겠다는 방침이다.

가공식품 시장 다변화와 한류 연계 등으로 수출 식품 시장도 키운다. 기존의 일본, 중국, 미국 등 한정된 시장에서 벗어나 성장 잠재력이 큰 신남방·신북방 지역에 대한 시장개척을 지원하고 할랄시장 및 UN 조달시장 등으로 신규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등이다.

정부는 인력양성과 청년 창업 지원, 민간 투자 지원, 유망 중소기업 홍보와 판로 개척, 품질관리 기준인 HACCP 적용 확대 등을 통해 전반적인 산업 인프라 구축에도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관련기관인 농식품부, 해수부, 식약처가 협업해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이재욱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식품산업은 성장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이고, 정책효과가 농어업, 중소기업 등 전후방 연관 산업 전반으로 파급되는 만큼, 이번 대책이 경제 전반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