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신장 공여자에 대한 항체 때문에 이식을 받지 못했던 환자에게서 항체를 제거하는 '탈감작' 치료를 시행해 뇌사자 신장이식에 성공했다.

콩팥 기능이 거의 소실된 상태에서 투석으로 생명을 연장하며 13년간 뇌사자 신장 이식을 기다리는 말기 콩팥병 환자에게 희망이 찾아 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신장 공여자에 대한 항체 때문에 이식을 받지 못했던 환자에게서 항체를 제거하는 '탈감작' 치료를 시행해 뇌사자 신장이식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의료계에서는 수혜자 혈액 안에 공여자 조직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를 ‘감작’이라고 한다. 감작은 임신, 수혈 및 재이식 등으로 발생하는데, 이때 이식하면 항체에 의한 급성 거부반응으로 이식이 실패할 확률이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장기이식 전에 공여자와 수혜자 간의 혈액검사인 교차반응검사를 한다. 결과가 양성이면 장기 이식 대기 순서에서 탈락하게 된다.

일단 감작된 환자는 어떤 공여자를 만나더라도 교차반응 양성이 나오는 경우가 높아 대기 기간이 길어진다. 극복하기 위해서는 항체 제거 후 신장을 이식하는 탈감작 치료를 해야 한다.

말기 신장병 환자 송 모(59·여)씨의 경우 13년 동안 8번이나 뇌사자 신장 이식의 기회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교차 반응검사에서 계속 양성으로 나와 이식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의료진은 송 씨에게 항체 생성을 억제하는 주사와 면역 글로불린을 투여해 교차반응검사를 음성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탈감작 치료를 시행했다. 그 결과 2개월만에 혈액에 존재하는 항체가 이식이 가능한 수준이 됐고, 송씨는 9번 시도 만에 이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송씨는 신장 이식 후 순조롭게 회복됐다.

양철우 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장기이식센터장)은 "뇌사자 이식 장기 대기 환자 중에는 대기 순위가 돼 병원에 왔다가도 교차반응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와 돌아가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번 탈감작 치료법으로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