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법인 전체 인수·합병(M&A) 중 계열사를 상대로 이루어진 M&A가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산규모 5조원이 넘는 대기업은 그룹 내 계열사 간 M&A 비중이 높고 벤처기업 등 비(非)계열사 인수에는 소극적인 양상을 띠었다. 상장법인은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 상장 자회사의 비상장화 등을 위해 M&A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12일 금융감독원 상장법인 M&A 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계열사 간 M&A는 상장법인 전체 M&A 거래 건수인 812건의 절반에 달하는 402건을 차지했다. 계열사 간 M&A는 그룹 내 구조개편을 의미한다. 특히 자산총액 5조원 이상인 대기업집단은 계열사 간 M&A 비중(76%)이 일반기업보다 더 높았다. 그룹 내부 구조개편에 치중했기 때문이다.

특히 대기업은 벤처기업 등 국내 비계열사와의 M&A에는 여전히 소극적이었다. 2016년 이후 일부 대기업이 신성장 동력 확보 등을 위해 해외기업 등 비계열사에 대한 대규모 M&A에 성공했지만 대기업과 국내 비계열사간 M&A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외부 비계열사를 상대로 한 M&A는 대부분 주식 양수도 방법으로 이뤄졌다. 주식 양수도는 경영권 확보에 필요한 지분만 당사자 간 사적 계약에 따라 거래한다. 상대기업 주주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합병에 비해서는 편리하지만 계열사 편입 이후 합병 등 추진 과정에서 지배주주와 소수주주 간 이해가 상충하기도 한다. 일부 지분 취득으로 기업을 인수하는 경우가 65%로 많은 탓이다.

이와 관련 금감원은 "M&A를 통해 우리 경제에 역동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계열사가 아닌 외부기업 상대 M&A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벤처기업 등 신성장 동력 육성을 위해서는 자금력과 경험 등이 풍부한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했다.

상장법인 M&A 건수는 매년 비슷했다. 거래 건수는 2016년 227건, 2017년 282건, 2018년 294건, 2019년 6월까지 139건이었다. 다수의 소규모 M&A가 매년 꾸준히 발생해 연도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1000억원 미만 M&A가 전체 건수의 84%였다.

거래금액은 연도별로 편차가 컸다. 소수(20건)의 1조원 이상 ‘메가딜’이 58%를 차지하면서 메가딜 발생 건수에 따라 연도별로 차이가 발생했다. 거래금액은 2016년 23조6000억원, 2017년 16조7000억원, 2018년 38조7000억원, 2019년 6월까지 7조3000억원이었다.

금감원은 "계열사 간 합병 등 소수주주 보호가 중요한 M&A에 대해서는 충분한 공시가 이뤄지도록 심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금감원은 지주회사 전환, 자발적 상장폐지 등 위험요소(리스크)가 있는 M&A에 대해서는 각 거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심사를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