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사가 지난 10월 중국을 제치고 글로벌 선박 수주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전 세계 선박 발주량 중 86%를 한국이 차지했다. 국제해사기구(IMO) 2020 규제 시행을 앞두고 친환경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종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한 덕이다.

12일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0월 글로벌 선박 발주량은 150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38척)로, 한국은 이 가운데 129만CGT(17척)를 수주했다. 전 세계의 발주 물량 10대 중 8대 이상을 한국이 차지한 것이다. 같은 기간 중국은 15만CGT(8척), 일본은 3만CGT(2척)을 수주하는 데 그쳤다.

한국의 10월 선박 수주량은 전년 동기 대비 324% 증가한 수준이다. 올해 들어 월별 수주량이 100만CGT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수주액은 26억달러로, 287% 늘었다. 이는 올해 월별 기준 최고 수주액이다.

한국은 그간 가격 경쟁력에 밀려 수주량에서 중국을 따라잡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달에는 고부가가치 선종을 중심으로 수주 경쟁에서 중국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초대형컨테이너선 11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4척,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1척,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도 1척 등을 수주했다.

현대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건조해 지난 7월 러시아 소브콤플로트사에 인도한 11만4000t급 LNG 추진 원유 운반선.

한국은 올 1~10월 누적 수주량에서도 중국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695만CGT(161척)를 수주해 점유율은 39%를 기록했다. 611만CGT(265척)를 수주한 중국의 점유율은 35%로 집계됐다. 일본과 이탈리아가 각각 233만CGT(139척·13%), 114만CGT(15척·6%)로 그 뒤를 이었다.

누적 수주액은 159억7000만달러로 세계 1위를 유지했다. 한국은 고부가가치 선종 수주에서 우위를 점해 지난 8월부터 수주액 1위 자리를 지켜왔다. 중국이 136억7000만달러, 이탈리아 74억7000만달러, 일본 44억9000만달러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 달 말 기준 전 세계 수주잔량은 9월 말 대비 96만CGT(1%) 감소한 7454만CGT로 나타났다. 글로벌 발주량 자체가 줄어든 탓이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642만CGT, 한국 2132만CGT, 일본 1191만CGT, 이탈리아 417만CGT로 집계됐다. 다만 같은 기간 한국의 개별 수주잔량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94만 CGT 증가했다. 일본과 중국은 모두 감소했다.

오는 2020년 1월 1일 IMO 황산화물(SOx) 배출 규제 시행을 앞두고 친환경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종에서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규제 시행 후 선박유의 황 함유량 허용치는 현행 3.5%에서 0.5%로 제한된다. 한국 조선사는 LNG선과 VLCC 관련 기술력에서 글로벌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한국은 올 1~10월 누적 기준 LNG운반선 발주량 35척 중 32척, VLCC 21척 중 13척, 초대형컨테이너선 26척 중 16척 등을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이 수주하지 못한 고부가가치 선박의 경우 대부분 중국, 일본 등이 자국에 발주한 물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조선사들은 올 하반기와 내년에도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 수주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초 북극 LNG-2와 카타르,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등의 LNG 프로젝트 물량이 발주될 전망이다.

그러나 내년 상반기까지는 글로벌 발주량이 주춤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IMO 2020 시행 전후로 선주들의 관망세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양종서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IMO 2020 시행 전 이미 나타난 선주들의 관망세는 2020년 1월 발효 이후에도 약 반년 간 지속될 수 있다"며 "다만 내년 하반기에는 실제 규제 여파를 확인하고 투자를 결정하는 선주들이 늘면서 발주 수요가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