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절하폭, 11개 신흥국 중 브라질·남아공 이어 3위
"환율 올라도 수출 안 늘어…약세 통화 인식, 도움 안돼"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 기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 전망을 불안하게 보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시각이 원화 약세 기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통화가치의 약세시조가 굳어지면, 자본차익을 기대하기 힘들어지는 외국인 투자 자금 이탈 가능성이 높아진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단가가 높아져 수출 실적 회복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있지만, 최근에는 이런 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실물경기 개선의 단초가 보이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선DB

5일 조선비즈가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결과, 원화는 하반기 중(7월1일~10월2일) 세계 주요 11개 신흥국(비기축통화국) 통화 가운데 미국 달러화 대비 통화가치 하락폭이 3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가치 하락폭이 가장 큰 통화는 브라질 헤알화(-6.48%)였고,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6.42%)가 2번째로 절하폭이 컸다. 이는 원화에 대한 평가 절하가 경제상황이 극도로 불안한 브라질, 남아공 수준이라는 의미다.

한국의 원화는 미국과 무역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의 위안화(-3.77%)보다 절하폭이 컸고, 글로벌 교역둔화 직격탄을 맞아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3.3%(연율 기준) 감소한 싱가포르의 싱가포르달러(-1.96%)보다도 약세 수준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對) 중국 경제 의존도가 높고, 수출 중심 경제구조인 대만의 대만달러는 원화와 달리 하반기 중 소폭이나마 강세(0.09%) 기조를 나타내고 있다.

올초 달러 당 1110원대에서 거래됐던 한국의 원화는 연중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1분기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전기비 -1.4%)로 발표된 지난 4월말부터는 1160원 위로 올라섰고, 중국 위안화가 달러 당 7위안 이상으로 절하된 8월 초부터는 달러 당 1200원 수준으로 튀어 올랐다. 미국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한 8월 중순에는 1220원대까지 치솟았다.

미국과 중국 사이의 무역협상이 시작된 9월 이후에는 환율이 달러 당 1200원 아래로 내려오기는 했지만, 1190원 밑으로 더 내려가지는 않는 상황이다. 외환시장 관계자들은 달러 당 1190원 초반에서는 추가 하락에 대한 강한 거부감이 감지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장 중 10원 이상 하락하기도 했지만, 결국 전날 대비 9.2원 하락한 1196.8원에서 거래를 마쳤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나올 정도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이 더 내려가기는 부담스럽다는 정서가 강해 장 막판에 원화 매도 주문이 좀 나왔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원화 약세에 대해 한국 경제 전망을 불투명하게 바라보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경상수지 흑자, 외환보유액 보유 수준 등은 양호한 수준이지만, 한국 경제 성장이 불투명하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것이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얘기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주요 11개 글로벌 IB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 평균치는 8월초 각각 2.3%, 2.4%였지만, 최근에는 1.9%, 2.0%로 내려간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가 점점 내려갈 정도로 한국 경제 펀더멘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게 원화를 약세로 이끌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LG경제연구원이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전망할 정도로 국내 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원화 약세는 수출 등 실물경기를 측면지원하는 기능을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런 선순환이 잘 일어나지 않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6월부터 본격적인 상승 흐름을 탔지만, 월별 수출 실적은 6월 이후 넉달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도체·석유화학 등을 제외한 나머지 주력 산업의 경쟁력이 저하된 탓이다.

원화 약세가 장기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진단도 나온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원화가 약세통화로 인식되는 상황이 고착되면,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기 위축을 증폭시키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익명을 요구한 한 경제학 교수는 "글로벌 시장에서 원화를 약세 통화로 본다는 것은 ‘한국에서 위기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 시각이 그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경제정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등 원화에 대한 불안감을 낮추려는 정책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