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 흐름도.

국내에서 최초로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하나의 통합 시스템에서 활용하는 환경이 마련됐다. 기존에 막혔던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17일 서울 중구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개통식을 개최하고, 산하 주요 공공기관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했다.

복지부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도록 지난 1년여 간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7월 학계, 의료계, 시민단체 등과 빅데이터 정책심의위원회를 구성했고 심층 토론을 거쳐 지난 해 11월 시범사업계획을 확정한 바 있다.

논의 끝에 탄생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가 각각 보유한 빅데이터를 연계해 단일 시스템에서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공공기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구축된 것이며, 국민건강 향상과 의료 질 제고를 위한 연구에 활용된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방안 제안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신청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확인 △공공기관 간 데이터 연계·교류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기능 등이다. 이후 정책심의위원회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한 공공 연구목적, 데이터 연계·제공방식 등을 논의했다.

이번에 개통된 플랫폼에서는 국민 누구나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주제 등을 제안할 수 있고 보건의료분야 연구자들은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신청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데이터 편람(카탈로그)’을 내려받아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범위, 형태, 종류 등을 확인해 연구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질의답변 등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플랫폼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연구과제의 공공성 심의 및 기술검토를 거쳐 연구자에게 데이터가 제공된다.

민감한 보건의료 정보를 다루는 만큼 공공기관 간 자료 전송 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전용회선(행정망)을 활용, 암호화해 자료를 주고받으며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대전)에 전산장비를 위치, 주요 국가 전산망으로서 철저히 보호하는 한편, 제3자신뢰방식(TTP) 및 안전한 일방암호화함수 등을 활용해 연계한다.

또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에 개인정보를 알아볼 수 없도록 기술적 조치(비식별조치)를 실시한다. 연구자는 이를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폐쇄된 연구공간을 통해서만 열람·분석하게 된다. 연구공간은 전국 11개 도시에 15개 분석센터 총 255좌석을 운영한다.

보건복지부는 1차 플랫폼 개통을 시작으로 공공기관 간 플랫폼 기능보강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해 나갈 예정이다. 또 공공기관과 협력해 개방대상 데이터 및 개방 범위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박능후 장관은 "개통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은 의료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의 첫 결과물"이라며 "앞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국민건강 증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개최된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개통식에는 김세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윤종필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김승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