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

"능력 있는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1000곳을 선정한 후 수요처인 대기업과 연계해 관련 제품을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19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만난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이 한 말이다.

중기중앙회가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 국산화 지원에 나섰다. 중기중앙회는 이날 국내 4600개에 달하는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이 어떤 제품을 생산하고 일본 등 해외와 비교해 어느 정도의 기술력을 지니고 있는지 조사한 후 이들이 원하는 수요처(대기업)와 연결해 제품 상용화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8월 안으로 중소기업 1000곳을 선정하고, 이 기업들이 대기업과 실제로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 테스트할 계획이다.

그동안 대기업은 일본에서 주요 소재, 부품, 장비 등을 수입했다. 굳이 시간을 들여 국내 중소기업과 협력해 관련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로 대기업이 위기를 느꼈고 국내 중소기업과 함께 소재, 부품을 개발·생산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양 본부장은 "앞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 개발 협력이 활성화될 것"이라며 "중기중앙회가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양 본부장은 제품 개발을 끝냈지만 양산을 하지 못하고 있는 기업과 현재 기술 또는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맞는 지원을 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제품 개발을 완료한 기업의 경우 생산라인을 구축할 수 있는 자금이 필요한데 이 때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본부장은 정부의 역할과 관련,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대기업에 (국내 중소기업과) 무조건적인 상생을 요구할 수는 없다"며 "연구개발이나 투자 때 세제 혜택 등 대기업을 유인할 수 있는 대책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의 기술 국산화는 단기가 아닌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또 대기업이 중소기업이 개발한 제품을 구매한다고 해도 단가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했다. 양 본부장은 "이제 막 제품 개발에 성공한 중소기업이 일본 등에서 제품을 대량으로 구매하던 대기업이 원하는 단가를 맞추기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중소기업이 제품을 개발 한 후 발생하는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