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타우 단백질’ 등 뇌 속 노폐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새로운 경로가 발견됐다. 지금까지 뇌 속에서 미지의 영역으로만 남아있던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은 머리뼈에 있는 구멍을 통해 바깥으로 연결돼 있는 ‘뇌막 림프관’의 하부 구조로 해부학적으로 뇌 척수액과 매우 가까이 있는 수송로다. 형태는 손가락을 뻗친 모양이며, 여러 림프관 다발로 구성된다.

이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은 해부학적으로 150년 전 실체가 발견됐으나 최근까지 정확한 위치와 기능에 대해 알려진 바 없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이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을 규명하고 나이가 들면 이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의 배출 기능도 떨어져 뇌 속 노폐물이 더 많이 축적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의 기능을 강화하면 뇌 속 노폐물의 배출을 활성화시키는 새로운 뇌행성 뇌질환 치료 접근방법도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치매 등 치료제 연구는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 등의 생성을 억제하는 데만 초점을 맞췄다.

뇌막 림프관의 위치(그림 A)와 생쥐를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뇌막 림프관의 구조변화(그림B).

고규영(KAIST 특훈교수) 기초과학연구원 혈관연구단 단장 연구팀은 25일 새벽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뇌 속 노폐물의 배출 경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생쥐의 머리 뼈를 얇게 박피한 다음 뇌척수액에 형광물질을 주입하는 실험과 자기공명영상(MRI) 실험을 통해 뇌 상부와 하부 뇌막 림프관의 구조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관찰 결과,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은 뇌에 쌓인 노폐물 등을 밖으로 배출하는 주요 배수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뇌의 척수액에 포함된 노폐물은 뇌 상부에 위치한 ‘거미막융모(Arachnoid villi)’를 통해 정맥혈관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해됐으나 정확한 주요 배출구가 확인된 것이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면 뇌의 노폐물 배출 기능이 저하되고 비정상적인 단백질들이 뇌에 축적된다는 사실에 기인해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을 대상으로 노화에 따른 실험을 추가로 진행했다.

늙은 생쥐의 경우, 젊은 생쥐보다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이 비정상적으로 붓고, 뇌막 림프관 내부 판막 구조가 망가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뇌 척수액 배출기능이 떨어져 노폐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지 못했다.

고규영 단장은 "이번 연구는 그동안 그 구조와 의미를 정확하게 몰랐던 뇌막 림프관을 새롭게 정의한 것"이라며 "앞으로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의 배출 기능을 향상시키는 치료제를 개발하면 새로운 퇴행성 뇌질환 치료방법의 실마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