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매달 고용통계를 발표할 때 한 주 1시간 이상 일하면 취업자로 계산한다. 1시간 일을 하든 40시간 일을 하든 똑같이 1명의 취업자인 셈이다. 이런 기준으로 지난 5월 우리나라 취업자는 2732만2000명이다. 1년 전보다 25만8000명이 늘었고, 2년 전보다는 33만명 증가했다.

박기성 성신여대 교수가 한국경제연구원 의뢰를 받아 '근로시간을 고려한 취업자 수'를 분석했더니 정부 통계와는 정반대 결과가 나왔다.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주당 36시간 근로를 기준으로 분석 결과 5월 취업자 수는 2년 전보다 20만7000명(-0.8%)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근로시간을 고려하면 2년 사이 제대로 된 일자리가 20만개 넘게 줄었다는 의미다. 박 교수는 주당 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는 1명으로 간주하고, 36시간 이하 일한 경우는 근로시간대별로 다르게 계산했다. 가령 주당 9시간 일한 경우 4분의 1명, 18시간은 2분의 1명으로 계산하는 식이다. 보고서는 "정부가 사이비 단기 공공 아르바이트 일자리를 마구 만들고, 최저임금을 급격히 인상하고, 근로시간을 강압적으로 단축하는 정책으로 기업이 주36 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를 단시간 근로자로 대체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정부 통계에서도 2년 사이 주 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는 2년 전보다 71만5000명 감소했고, 주 36시간 미만은 100만5000명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