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1분기 세계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1위 자리를 지켰다.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에선 80% 이상 점유율을 기록해 압도적인 독주를 벌였다. 후발주자인 중국 업체들은 빠른 상승세로 일본을 추격하고 있었다.

지난해 9월 홍콩에 있는 애플스토어에서 고객들이 아이폰XS와 아이폰XS맥스를 살펴보고 있는 모습. 두 제품은 OLED 패널이 채용됐으며, 100% 삼성디스플레이가 납품했다.

17일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1분기 세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34억5396만달러(약 4조947억원) 매출을 올려 점유율 40.2%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46.8%)와 전분기인 지난해 4분기(41.8%)보다는 다소 떨어진 수치지만, 2위인 재팬디스플레이(JDI)의 매출 10억5936만달러(12.3%)와는 격차가 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17년 2분기 이후 8분기 연속 40% 이상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IHS마킷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2분기에도 점유율 42.5%를 기록하며 선두자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중국의 추격은 거셌다. 중국 BOE는 올해 1분기 점유율 11.9%를 차지하며 재팬디스플레이를 턱밑까지 추격했다. BOE의 점유율은 지난해 1분기 6.5%에 불과했지만, 1년 사이 점유율을 두배 가까이 올렸다. 또 중국 톈마(天馬)가 최근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LCD 생산을 늘리며 점유율을 8.1%까지 끌어올려 3위를 기록했다. 4위는 일본 샤프(8.0%)였고, 5위는 LG디스플레이(7.8%)였다.

일본은 곧 2위 자리를 중국에 내줄 것으로 보인다. IHS마킷은 올해 2분기 들어 BOE와 톈마가 각각 15.1%, 11.0%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재팬디스플레이를 제친다고 전망했다.

중국의 빠른 성장에는 배경으로는 스마트폰에서 올레드 패널 채택이 늘어난 점이 꼽힌다. 삼성전자·애플은 물론 오포·비보·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고급 제품에 올레드를 적용하자, 중소형 올레드 패널 생산 능력에 따라 점유율이 변동하고 있는 것이다.

IHS마킷은 스마트폰용 올레드 출하가 올해 1분기 9077만개에서 2분기에는 1억981만개로 늘어난 뒤, 3분기에는 1억2164만개에 이른다고 내다봤다.

스마트폰용 올레드 시장에선 삼성디스플레이가 1분기 점유율 86.5%를 기록하며 사실상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2위는 BOE로 8.3%를 차지했다. 3위는 LG디스플레이로 점유율은 3.0%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