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상북도 구미와 경상남도 밀양을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로 선정할 전망이다. 노사민정(勞使民政) 협의를 마치고 이달 중 공식 발표하는 것이 목표다.

박건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성장실장은 10일 "지난 5일 경남 창원에서 열린 '환경의 날' 행사를 계기로 성윤모 산업부 장관과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만나 밀양형 일자리 추진 현황 등을 논의했다"며 "광주형과 달리 30여개 중소기업이 함께 상생 모델을 만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문재인(오른쪽 두번째) 대통령이 지난 1월 31일 오후 광주광역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서 윤종해(왼쪽부터) 한국노총 광주본부장, 이용섭 광주광역시장, 이원희 현대자동차 사장과 손을 잡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은 지역 경제주체 간 상생 협약을 체결해 적정 근로조건, 노사관계 안정, 생산성 향상, 원‧하청 개선, 인프라·복지 협력 등을 도모하면서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상생협약 내용은 지역·산업·기업별 특성을 고려해 자율적·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앞서 광주광역시와 현대자동차가 지난 1월 31일 '반값 임금', '임·단협 유예'를 골자로 하는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을 맺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상반기 중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2~3곳을 추가로 발굴하겠다고 올해 2월에 밝힌 바 있다.

경상북도 구미와 경상남도 밀양 외에도 강원도 횡성, 전라북도 군산, 경상남도 고성, 경상남도 사천 등 다양한 지자체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사업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구미와 밀양의 사업이 보다 구체적이고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예를 들어 군산의 경우 MS컨소시엄이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을 신청했는데 아직 부지 매입을 마무리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밀양형 일자리는 경상남도와 밀양시가 하남일반산단을 스마트 친환경 산업단지로 조성하는 사업으로, 진해·부산·창원 소재 주물 등 뿌리기업 30여 곳이 집단 이전하는 것이 골자다. 밀양형 일자리로 선정되면 하남일반산단으로 이전하는 기업의 신규 설비투자 등 2024년까지 3500억원 이상의 직접투자가 이뤄진다.

이들 기업의 총 고용인원은 약 1700명으로, 산단 이전시 500여명을 추가로 채용할 계획이다. 지역주민과의 상생을 위해 신규 채용 인력 중 일부는 지역인재를 우선으로 선발할 예정이다. 우선 선발 비중은 이주 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간 협의를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경상북도 구미는 LG화학(051910)의 투자를 유치해 '구미형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지난 7일 LG화학에 '구미형 일자리 투자 유치 제안서'를 전달했고, LG화학은 양극재 공장을 짓겠다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양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을 높이는 핵심 소재다.

LG화학이 우선 5000억~6000억원을 투자해 구미에 양극재 공장을 지으면 1000명 이상의 직·간접 고용 효과가 예상된다. 내년 1월 착공이 목표로, 경북도·구미시와 LG화학은 실무협의단을 꾸려 사업 타당성 등을 검토한 뒤 이르면 이달 말 정식으로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박 실장은 "각 지자체별로 진행 속도가 달라 어디가 먼저라고 얘기할 수는 없지만, 밀양과 구미가 차기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이 될 것 같다"며 "모든 협의를 마치고 이달 중 공식 발표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