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라는 사람이 자가 유전자 검사 키트로 유전자 검사를 했다고 가정해 보자. 검사 결과 '향후 5년 내 대장암에 걸릴 확률 85%'라는 결과가 나왔다. 당신이 A라면 어떻게 할까. 사람에 따라 반응이 조금씩 다를 수 있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장암에 대한 혜택이 탁월한 보험을 찾아 가입할 것이다. 검사 결과가 현실이 될 경우 A는 많은 보험 혜택을 누릴 수 있겠지만, 보험사 입장으로선 손해 보는 장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자가 유전자 검사 제품 시장이 커지면서 이런 시나리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017년 유전자 검사를 통해 자신이 알츠하이머를 유발시키는 'ApoE4'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 팻 라일리(77)라는 여성이 알츠하이머 보험을 든 사례를 보도했다. 지금과 같은 속도로 유전자 검사 시장이 커질 경우, 팻 같은 사례가 급속도로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코노미스트는 "보험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근거로 하는 산업인데, 유전자 검사 시장의 성장으로 이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보험업계와 고객 간의 '정보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으론 만약 보험사가 유전자 정보를 토대로 암·심장 질환 발병 가능성이 높은 고객의 보험 가입을 꺼릴 경우, 보험 가입 차별 현상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그러나 아직 이런 부작용에 대한 대비책이나 법규는 전 세계적으로 미비한 상황이다. 미국에선 2008년 '유전자 정보 차별 금지법'이 제정돼 유전자 정보를 갖고 있다고 해서 보험 가입을 차별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금지하고 있지만, 보완할 점이 많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