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영일만의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사업과 2017년 11월 포항지진은 관련성이 있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번 연구용역 조사를 주도한 김형수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전 학회장(중원대학교 교수)는 24일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에서 ‘2017년 포항 지진과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실증사업의 관련성 조사 결과 발표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는 24일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에서 2017년 포항 지진과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실증사업의 관련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Carbon Capture & Storage, 이하 CCS)은 화석연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압축해 바다 밑 750~800미터(m) 땅 속에 주입·저장하는 기술이다. 온실가스를 줄여 지구 기후변화 등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 기술을 확인하기 위해 포항 영일만에 에너지 저장시설을 설치하고 실증사업을 추진했다. 이산화탄소 주입은 2017년 1월부터 6차례에 걸려 약 5톤씩 주입됐다. 그러나 2017년 11월 포항에 규모 5.4 지진이 발생하면서 지하를 활용하는 모든 연구개발 사업이 지진의 원인으로 꼽혔다. 이에 CCS 사업도 관련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터져나왔다.

지난 3월 포항의 지열발전소가 지진과 관련성이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면서 이러한 의심은 증폭된 상황이다. 포항시와 지역 시민단체는 CCS 실증시설의 완전 폐지를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학회 조사단이 포항 영일만의 CCS 실증 시설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CCS 시설의 지진유발 및 이산화탄소 누출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선정 당시 포항 영일만은 전국 5대 퇴적분지를 대상으로 가장 안전한 곳으로 꼽혔다.

실제로 포항 지진의 진원·진앙과 영일만 해역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소의 거리는 약 10킬로미터(km) 정도 떨어져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포항 진원의 깊이는 4킬로미터에 달하고 CCS 저장층은 해저면 아래 750~800미터 수준이다.

특히 주입 현장 인근 단층들은 북북동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포항지진의 진앙은 이산화탄소 주입 지점으로부터 북북서 방향에 위치해 이산화탄소가 지진을 발생시켰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단은 이산화탄소의 주입량이 다른 CCS사업과 비교해 유발 지진을 일으킬 양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 주입 기간 동안 지진 활동 기록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결과를 분석했다.

김형수 교수는 "포항 영일만 CCS 프로젝트의 포항 지진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공공 수용성과 재해발생 시 법적 보상 근거를 확보한다면 연간 2만톤의 이산화탄소 주입 실증 프로젝트에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수행된 지중저장 프로젝트. 이산화탄소 주입정은 2017년 11월 포항지진의 예상 진원지로부터 약 9.54km 떨여저 있으며, 주입 행위는 지진 발생 약 8개우러 이전에 종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