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개발에 4000억원 투자
매출 1000억원 기업 20개, 산업 규모 15조원 달성 목표

정부가 작년 기준 32만대인 제조로봇을 향후 5년 내 70만대(누적)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로봇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돌봄·의료·물류·웨어러블 서비스로봇 및 자율 주행 센서·영상정보처리 등 로봇 부품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연구개발에 내년부터 각각 3000억원과 1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대구에서 '열린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에서 ▲제조로봇 산업과 수요산업 동반성장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성윤모 산업부 장관,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권영진 대구시장 등을 비롯해 업계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경기도 평택시 경동나비엔 공장에서 검사로봇이 완성된 가스보일러를 검사하고 있다.

정부는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뿌리 산업과 섬유 식·음료 등 근로 환경이 열악하고 인력이 부족한 분야에 로봇을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분야를 중심으로 제조로봇 7560대를 선도 보급하고, 이를 계기로 민간이 자율적으로 큰 부담 없이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대여(렌탈, 리스) 서비스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제조로봇 보급 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표준 활용모델을 개발하고, 활용인력 교육도 지원한다. 정부는 1080개 중소기업이 컨설팅 및 선도보급의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돌봄·의료·물류·웨어러블 등 4대 유망 서비스로봇 분야를 선정하고 이를 적극 육성할 방침이다. 서비스로봇 산업은 아직 시장초기 단계로 향후 산업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우리 기업이 복강경 수술 로봇을 상용화하는 등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돌봄·의료·물류·웨어러블 등 서비스로봇 분야를 육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2020년부터 총 3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돌봄로봇 5000대를 보급하는 등 총 1만대의 서비스 로봇을 보급할 예정이다. 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내에 로봇 규제 샌드박스 지원센터를 설치 및 운영해 불필요한 규제 등을 해결할 계획이다. 아울러 돌봄·웨어러블·의료·물류 로봇 등 4대 분야에 대해 로봇실증특례지역을 지정하고 해당 기업이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데 힘을 실어 줄 방침이다.

로봇산업을 떠받치는 로봇 분야 시스템통합 전문기업(SI)을 육성하고 로봇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 자립화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7년간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차세대로봇에 필요한 지능형 제어기·자율 주행 센서·스마트 그리퍼 등 3대 핵심부품과 로봇 SW·잡는 기술·영상정보 처리·인간로봇 교감 SW 등 4대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산업·기술간 융합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차, 공장기계, 인공지능(AI) 등 인접 분야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로봇 융합 얼라이언스’도 운영할 방침이다.

로봇산업 육성 정책을 통해 오는 2023년까지 스타 로봇기업(연매출 1000억원 이상 로봇전문기업)을 20개 육성하고 작년 기준 약 5조7000억원인 로봇 산업 규모를 15조원으로 발전시키는 게 정부 목표다. 현재 연 매출 1000억원 이상 기업은 현대중공업지주(현대로보틱스), 로보스타(090360), 고영(098460), 삼익THK(004380), 신성이엔지(011930)등 7개다.

로봇 산업이 발전하게 되면 음식배달원 등 저임금·저숙련 일자리는 로봇이 대체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존 일자리를 대체하는 로봇 시장은 형성이 안되지만 일부 저임금 저숙련 일자리를 대체하는 로봇은 나타나게 될 것"이라며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줄인다는 개념보다는 로봇이 인간을 보조하는 형태로 산업이 발전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