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러스·쏘카 등 차량 공유 업체들은 7일 이번 택시·카풀 사회적 대타협 기구의 합의안에 대해 "차량 공유를 통한 혁신의 싹을 완전히 잘랐다. 향후 나쁜 선례로 남을 것"이라고 했다.

국내 최대 카풀 업체 풀러스는 "전혀 실효성이 없는 결론이 나왔다"며 "택시를 잡지 못해 불편을 겪는 심야 시간대 카풀을 활용할 수 없다는 데 시민이 공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택시가 가장 부족한 시간은 밤 12시가 넘은 심야 시간이다. 카풀의 핵심은 목적지가 같은 운전자와 탑승자가 합승해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그런데 가장 수요가 많은 심야 시간대는 빠졌다. 또 출퇴근 시간을 아침·저녁의 2시간씩으로 한정하면 사실상 유료(有料) 카풀이라는 비즈니스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풀러스는 이번 합의안에 적용되지 않는 무료 카풀 서비스인 '풀러스 제로'는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일종의 불복종운동을 하겠다는 반발이다. 또 카풀 전체 업계의 대표성이 없는 카카오모빌리티가 합의한 데 대해서도 납득하지 못 한다는 반응이다.

카풀 이용자 단체인 승차공유이용자모임의 김길래 대표도 "카풀 갈등이 종식된 것은 환영하지만 이용자들의 출퇴근 시간이 다른 현실에서 시간제한을 둔 것은 이용자들에게 또 다른 규제가 생긴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했다.

카풀은 아니지만 차량 임대를 통한 택시 유사 서비스인 '타다'를 제공하는 쏘카 이재웅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앞으로 의미 있는 카풀 업체는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며 "카카오도 앞으로 서비스를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입장인 것을 보면 과연 이 합의가 카풀·택시 간 사회적 대타협 기구의 합의라고 볼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했다.

그는 또 "이번 합의는 법에 허용한 방식을 금지하는 타협안이기 때문에 나쁜 선례로 남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했다. 타다는 이용자가 차량을 임대하면 운전기사를 함께 배치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이번 합의안과 상관없이 계속 서비스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