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 이후, 편의점주와 본사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편의점주와 여당은 본사·점주 수익구조를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편의점 본사는 "점주들의 어려운 상황은 이해하지만, 최저소득을 보장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CU(씨유)가맹점주협의회,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등은 지난 1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과장된 매출 선전, 높은 임대료, 근접출점 등을 지적했다. 이들은 "점주는 빈곤해지고 본사만 살찌우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은 "일본처럼 최저소득을 보장해주는 제도가 필요하다"며 법 개정을 촉구했다.

편의점산업협회 제공

반면 편의점 본사는 "일본과는 계약 기간, 수수료율, 창업초기자금 등 상황이 다르다"며 일본의 최저보증제도를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예를 들어 일본 세븐일레븐은 15년 계약기간 중 12년간 최저수익을 보장하고, 로손과 패밀리마트는 계약 기간(10년) 내내 보전해준다. 이후 일정 금액 이상 매출이 나오면 최저수익보장제로 받았던 금액을 되돌려주는 대여금 형식이다. 반면 BGF리테일(CU), GS리테일(GS25), 코리아세븐(세븐일레븐)은 편의점 개점 이후 1~2년 동안 자금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편의점 수수료율은 30~35%, 평균창업비용은 5000~7000만원으로 일본에 비해 적은 편이다. 일본은 판매용 설비와 간판, 포스(POS)시스템 모두 가맹점주가 부담해야 해 평균 창업비용이 3억원을 넘는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는 계약 기간(5년)이 짧은 것을 선호하는 점주들이 많다"며 "계약 기간을 10년으로 늘리기도 어렵고, 매출이 회복된다고 해도 지원금을 돌려달라고 하기 어려운데 어떻게 똑같이 시행하느냐"고 반발했다.

11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는 ‘CU편의점 저매출점포 피해사례보고 및 진정한 상생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최저임금 인상 후 대안을 두고도 본사와 점주들의 의견이 갈린다. CU가맹점주협의회는 지난해 11월부터 편의점 본사인 강남구 BGF리테일 앞에서 농성하고 있다. CU 가맹점주 측은 "최저임금 인상분의 50%를 본사가 부담하고, 점포 개설 시 본사가 제시한 예상 매출이 실제와 달라 피해 본 점주에 대해 보상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편의점 본사는 최저임금 인상분을 지급하는 것은 프랜차이즈의 근본적인 시스템과 맞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편의점 본사 관계자는 "가맹사업 특성상 개인이 사업을 운영하는 것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며 "일괄적인 보상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편의점 본사 측은 또 상생 비용과 줄어든 출점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BGF리테일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약 3.3%로 인적분할 전인 2015년~2016년(4.2%)보다 하락했다. GS리테일(007070)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약 2.1%로 2017년(2.0%)과 비슷했다. 지난해 GS25와 CU가 상생비용으로 사용한 금액은 각각 1000억원, 900억원으로 올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편의점주와 본사의 갈등이 팽팽한 가운데 점주들 사이에서도 최저임금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전국편의점가맹점협의회 관계자는 지난달 29일 "최저임금·주휴수당으로 점주 수입이 줄고, 아르바이트생 일자리도 줄어든 상황"이라며 "최저임금·주휴수당을 차등하는 방안을 고려해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