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프트웨어(SW) 기반 산업육성·인력양성을 위해 올해 3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중소·벤처 기업 고성장 전략으로 반도체에 편중된 ICT(정보통신기술) 산업 생태계를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30일 제7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ICT산업 고도화 및 확산전략’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반도체 기업 매출 둔화, 중국 기업 추격을 극복하기 위해 올해 약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최대 1조2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지난해 ICT 수출은 사상 최대의 성과(2000억달러 돌파)를 기록했지만, 작년 11월부턴 반도체 매출 둔화로 감소세로 전환했다.

예산 2조원은 2018년보다 20% 증액된 규모다. 데이터·인공지능(AI) 경제 구현을 위해 7200억원(58% 증액)을 투입하고,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등 소프트웨어(SW) 중심 인력 양성 예산으로 2357억원(40% 증액)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우정사업본부를 통해 1조2000억원 규모의 ‘KP Inno’ 펀드를 조성해 ICT 고성장 유망 기업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지원 효율성 증대를 위해 지난해 기준 770억원 규모였던 ICT 창업·벤처사업도 개편한다.

중소기업 기술지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혁신방안도 올해 상반기 내 마련하기로 했다. ICT가 전 산업에 적용·확산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 적용 대상 과제를 적극 발굴·추진하고, 빅데이터·5세대(G) 이동통신을 활용한 제조혁신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지능형반도체(1조5000억원), 6G(9000억원)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대규모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하고, 양자통신 분야 생태계 조성을 위한 ‘양자정보통신진흥 종합계획’도 올해 내 수립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중소·벤처기업 ICT 연구개발(R&D) 바우처 사업(2020년~2024년)도 7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런 전략을 통해 2022년까지 ICT 분야 일자리 112만명(2017년보다 10% 증가), 수출 2643억달러(2018년보다 20% 증가)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민원기 과기정통부 2차관은 "ICT 산업 위기 극복과 미래 대비를 위해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미래에도 ICT가 대한민국 혁신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