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예고한 '수도권 3기 신도시' 4~5곳 가운데 일부가 이르면 이번 주 중 발표된다. 3기 신도시 '1호'는 경기 광명시에 건설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관계자는 16일 본지 통화에서 "국토교통부가 신도시 1~2곳의 입지를 최근 확정하고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며 "예정대로 진행되면 20~21일쯤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난 9월 '수도권 공급 확대 대책'을 발표하며 "서울과 1기 신도시(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 사이 지역에 대규모 택지(신도시) 4~5곳을 개발하고 20만가구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2곳은 연내, 나머지는 내년 상반기 중 공개된다.

현재 광명·하남·고양·남양주 등이 후보로 검토되고 있으며, 광명시가 첫 발표 대상에 포함됐다고 복수(複數)의 소식통이 전했다.

광명에는 이명박 정부가 보금자리주택을 추진했던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터가 있다. 영등포·구로 등 서울 서남부와 가깝고 KTX 광명역, 서울외곽순환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 이미 해제됐으며 면적도 1736만㎡로 일산신도시(1574만㎡)보다 크다. 이명박 정부가 당시 이 땅에 9만5000가구 규모의 주택을 지을 계획이었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재무 상태 악화와 원주민 반발 등으로 2014년 무산됐다.

국토부는 3기 신도시 입지와 함께 교통 대책도 발표할 예정이다. 2기 신도시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노무현 정부 시절 계획된 2기 신도시는 '경제적 자립성을 갖춘 자족 도시'라는 목표에 지나치게 매달린 탓에 교통 대책이 상대적으로 소홀했고, 그 결과 지금도 일부 신도시 주민들은 서울로 출퇴근하며 매일 4시간가량을 허비하고 있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3기 신도시 입주까지 최소 5년은 걸리지만 새 아파트가 꾸준히 공급된다는 심리가 형성돼 서울 집값 안정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며 "특히 광명에 신도시가 들어서면 여의도·영등포에 밀집한 업무 시설의 분산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