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원전 가동률이 줄고 수도권 화력발전소 가동이 늘어나면서, 일부 송전선 부하율이 90% 이상까지 올라가는 '위험 과부하' 상황이 최대 31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이철규 의원이 한국전력공사에서 제출받은 '상시 과부하 발생 전망에 따른 대책 보고' 자료에 따르면, 2016년 8월 말 기준 송전선로 위험(부하율 90% 이상) 상황 발생 건수는 47건에서 2018년 181건으로 4배 늘었다. 특히 '서안성-서진천' 구간은 위험 상황 발생 건수가 2016년 1건에서 2017년 11건, 2018년에는 8월 말 기준 31건으로 늘어났다.

이에 한전은 지난 1월 대책회의를 열고 위험 상황 발생 원인을 '원전 10기 정지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전력 수급 편차에 의한 선로 과부하 현상'으로 지목했다. 원전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는 비수도권에서 생산된 전력이 수도권으로 흘러들어 갔다. 이에 따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남하하는 송전선은 최소치로 가동됐다. 그런데 다수 원전이 정지되고 수도권 화력발전소를 최대 수준으로 가동하면서 수도권에서 남은 전력이 비수도권으로 내려가게 됐다.

2016년 6월부터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까지 수도권 전력 소비량이 발전량보다 1만8669GWh 많아 비수도권에서 흘러들어 갔는데, 탈원전 정책이 본격 시행된 2017년 6월부터 지난 5월까지는 수도권 발전량이 소비량보다 1736GWh 많아 비수도권으로 역류(逆流)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이철규 의원은 실제 과부하 발생 시기와 원전 가동 중단 시기가 맞아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탈원전으로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커진 것도 모자라 송전선로까지 위험에 처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