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의 비만 유병율이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을 적용하면 현재 35.5%에서 5.5%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1일 보건복지부 자료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비만 기준이 선진국과 달리 낮게 책정돼 많은 국민들이 근거 없이 비만의 공포에 떨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비만은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 지수(BMI)를 측정해 일정 기준보다 높을 경우 진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25~29.9㎏/㎡이면 비만이고, 30㎏/㎡이상이면 고도비만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그러나 OECD 국가를 비롯한 외국에서는 정상체중의 기준을 25㎏/㎡ 이하로 정하고 있다. WHO의 비만 기준은 30㎏/㎡ 이다. 이에 유럽 등 서구권 국가에서는 25~29.9㎏/㎡는 과체중으로 분류하고, 30㎏/㎡이상은 단순 비만으로 분류한다.

특히 체질량 지수 25kg/㎡ 기준 국내 비만 유병율은 35.5%(남자 41.8%, 여자 20.2%)로 나타나지만, WHO 기준인 체질량지수 30kg/㎡을 적용할 경우 비만 유병율은 5.5%(남자 5.9%, 여자 5.2%)로 줄어든다.

우리나라와 다른 OECD 국가간 비만 기준이 다른 이유는 국내 기준이 2000년 제정된 아시아태평양지역 비만기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웃나라인 일본의 경우 2014년 체질량지수 정상기준을 남성 27.7kg/㎡, 여성 26.1kg/㎡로 넓혔다

남 의원은 "아시아태평양지역 비만기준은 국제적으로 상호 비교하기에 부적절한 비만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며 "2018년 변경 비만기준 또한 체질량지수 25㎏/㎡으로 수치가 너무 낮을 가능성이 여전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 비만기준도 국제적 추세에 부응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질병위험과 사망위험이 동시에 높아지는 수준으로 비만기준을 상향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