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한 폴 로머(62) 미국 뉴욕대 교수가 한국의 소득 주도 성장 정책에 대해 "성공 여부는 향상된 소득이 얼마나 많은 기술 습득으로 이어지느냐에 달렸다"고 밝혔다.

로머 교수는 기술 혁신과 아이디어 축적이 경제성장을 이끄는 핵심이라고 주장하는 '내생적 성장 이론'의 선구자로 꼽힌다. 전통 경제학이 경제성장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노동과 자본을 꼽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올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폴 로머 미국 뉴욕대 교수가 8일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그는“한국의 소득 주도 성장이 성공하려면 소득 향상이 기술 습득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로머 교수는 8일(현지 시각) 노벨상 수상자로 선정된 직후 뉴욕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소득 주도 성장의 경제적 효과를 어떻게 보느냐"는 한국 취재진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사람들은 소득이 늘어나면 더 많은 교육을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기 마련"이라며 "어떤 기술이 더 필요하고 누가 더 기술을 배워야 하는지, 어떤 환경에 기술이 필요한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

로머 교수는 이어 "한국의 교육 시스템은 매우 훌륭하다"고 평가하면서도 "업무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누구나 관심을 갖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로머 교수는 또 "싱가포르도 소득 주도 성장을 시도했는데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며 "싱가포르의 사례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싱가포르가 최저임금 인상 등 우리나라와 같은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을 실시한 적은 없다"며 "최근 로머 교수의 주된 연구 주제가 '도시 집적화를 통한 기술 혁신'인데, 싱가포르가 도시 집적화의 대표 모델이라는 점에서 이를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싱가포르의 기술 혁신을 촉발한 것이 교육열이 높은 고소득층이라는 점에서 소득 주도 성장을 연관시켰다는 것이다.

한편 로머 교수는 세계 경제 상황에 대해 "또다시 금융위기가 찾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과거의 경험에서 배운 것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