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투자 부진, 미래위한 투자에 소홀한 결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4일 "소득증가율을 상회하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금융 불균형이 누증되고 있다"며 "금융 불균형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한 통화 긴축(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우리 경제는 지난 10년간 대외지급능력과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개선되면서 우리 경제의 대외 충격 흡수력은 크게 높아졌지만 금융 불균형은 누증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주열 총재는 “소득증가율을 상회하는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금융 불균형이 누증되고 있다”며 “금융 불균형을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의 언급처럼 장기간 지속된 저금리 환경에서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시중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으로 쏠리면서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누적된 금융 불균형이 우리 경제의 잠재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 성장세가 꺾이고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지만, 이 총재는 금융 안정을 위한 통화 긴축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강조한 것이다.

이 총재는 또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악화된 상황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최근 기업 투자가 부진한 상황은 기저효과 같은 일시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 외에도 기업들이 미래를 위한 투자에 소홀한 결과라고 했다.

이 총재는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는 등 성장 잠재력이 저하됐다"며 "합리적인 규제 완화 등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투자 심리를 제고함으로써 지속 성장의 기반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긴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성장 잠재력과 일자리 창출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을 지속해 나가는 등 향후 10년을 바라보는 정책적 노력이 중요한 때"라고도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종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상임이사,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 염용섭 SK경영경제연구소장, 배현기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