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오는 31일 금융통화위원회 8월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금융시장에서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행 연 1.50% 수준에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압도적이다.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은 이주열 한은 총재가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에 쏠리고 있다.

지난달 이일형 금통위원이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을 내면서 8월 금리 인상 기대감이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터키발 신흥국 금융불안에 이어 7월 취업자 증가폭이 고작 5000명에 그쳤다는 고용참사 소식이 지난 17일 발표된 이후 금리 동결 전망이 굳어지는 분위기다. 한국 경제가 하강 국면에 들어선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용 상황이 ‘재난’ 수준으로 악화되면서 한은이 통화 긴축에 나서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은 것이다.

한국은행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 참여자들은 이주열 한은 총재의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올해 한은 금통위의 추가 금리 인상 시점과 관련해 모건스탠리, JP모건, 골드만삭스, 노무라 등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10월이나 11월로 연기한 데 이어 HSBC도 최근 8월에서 11월로 늦췄다. HSBC는 지난 22일 ‘고용 쇼크’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인구구조 변화가 고용 악화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판단하지만 고용 창출 효과가 낮은 전자산업의 의존도가 커지고 건설업과 서비스업이 둔화된 것 역시 고용을 악화시킨 주요 요인"이었다고 분석했다. HSBC는 내년 한은의 금리 인상 횟수 전망도 2회에서 1회로 축소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이주열 총재가 그동안 "금리를 올릴 수 있을 때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이달 전격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고용지표가 악화되고 있지만 지난달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었다. 게다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9월 금리 인상을 강력하게 시사한 만큼 한은이 선제적으로 금리를 올려 자본유출 위험에 대응할 수도 있다. 금통위 내부에서도 한미 금리 역전 장기화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가능성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한은이 금리를 동결할 경우 이 총재가 4분기 금리 인상 시그널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9월에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 정례회의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한은이 이달 금리를 동결하고 10월이나 11월 금리를 올리려면 시장 참여자들에게 시그널을 줘야 한다. 반대로 이 총재가 경제가 악화되는 상황에 대응해 한은이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시사할 수도 있다.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이 총재의 발언이 핵심 포인트다.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또 나올지도 주목해야할 점이다.